중국 광서자치주 소수민족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정남 작성일작성일 09-01-12 수정일수정일 70-01-01 조회11,400회관련링크
본문
광서좡족자치구의 소수민족
김재원 (한국민족연구원, 연구원)
Ⅰ. 개괄
광서좡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는 중국 남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운남성의 동쪽, 귀주성의 남쪽, 호남성의 남서쪽, 광동성의 북서쪽에 접해 있으며, 남서쪽으로는 베트남에 인접해 있고, 남쪽은 통킹만이다. 광서 지방은 산이 많기로 유명하여 흔히 중국에서 이 지역을 ‘팔산일수일분전’(八山一水一分田)이라고 불렀다. 즉 팔할이 산이고, 일할이 물이고, 나머지 일할이 농사지을만한 땅이라는 뜻이다. 가장 높은 산은 마오얼 산(猫儿山)으로 2,141m에 달한다.
2000년 중국 총인구조사에서 광서의 인구는 모두 4385만 명 정도였는데, 이중 소수민족은 1683만 명 정도로 전체 인구의 38.38%를 차지하여,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소수민족인 자치구임을 나타내었다. 이는 인접한 운남성의 소수민족 인구인 1천 4백만 명보다도 많고, 같은 소수민족 자치구의 위치를 가지고 있는 내몽고 자치구의 490 만, 서장 자치구의 250만, 영하회족자치구의 190만, 신강위구르 자치구의 1천 1백만보다도 많은 숫자이다. 광서좡족자치구는 중국에서 소수민족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성급 행정기관인 것이다.
광서에는 14개의 지급시(地级市), 113개의 현, 시, 구가 있는데, 이중 민족자치현이 12개가 있으며, 이외 3개 현이 공식적으로는 민족자치현이 아니지만 자치현의 특별대우를 받고 있다. 또한 1321개의 진(镇)이 있으며 이중 소수민족 자치를 하는 진이 58개가 있다.
한족(漢族)을 제외하면 중국에 살고 있는 공식적인 소수민족은 55개가 있는데, 광서좡족자치구에 살고 있는 인구 1천 명이 넘는 소수민족은 모두 19개이며, 성급 행정기관의 공식적인 소수민족으로 인정받기 위한 조건인 1개 성에서 5천명 이상의 인구를 보이는 민족은 13개 민족이 있다.
주지하듯이, 소수민족 분류의 기준은 중국 정부의 자의적인 것으로, 각 소수민족의 일부로 간주되는 민족집단들도 독자적인 민족성이 매우 강한 경우가 많고, 민족 내부의 이질감이 심한 민족들도 많다. 예를 들어, 마오난(毛南)의 일부로 분류되는 얀환(佯僙)족은 독자적인 민족 정체성이 강해 마오난족과 별개의 민족이라고 스스로 주장하고 있으며, 먀오족(苗)과 야오족(瑶) 등은 민족 내부의 여러 집단들 간의 이질감이 매우 크다.
1. 광서좡족 자치구의 소수민족 현황
자치구 내에서 5천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는 집단은 좡족(壯), 야오족(瑶), 먀오족(苗), 동족(侗), 무라오족(仫佬), 마오난족(毛南), 회족(回), 부이족(布依), 징족(京), 수이족(水), 이족(彝), 만주족(滿), 몽골족(蒙古)의 13개 민족이다. 가장 많은 소수민족은 자치구의 중심민족인 좡족으로, 1420만 명을 기록하여 자치구 소수민족 중 84.42%의 절대다수를 점유하고 있다. 이외 야오족 147만명, 먀오족 46만, 동족 30만, 무라오족 17만, 마오난족 7만 3천, 회족 3만 2천, 부이족 2만 8천, 징족 2만, 수이족 1만 5천의 순이다. 공식적인 소수민족 중 가장 인구가 적은 것은 몽골족으로 8,651명을 기록하였다. 투쟈족(土家)은 4,630명을 기록하여 5천명을 넘지 못했으며, 거라오족(仡佬) 3,820명, 리족(黎) 2,997명, 티베트족(藏) 2,194명, 조선족 2,008명, 위구르족(维吾尔) 1,550명 등의 인구를 기록하였다.
민족(한문, 영어식 발음)2000년 광서 내 인구2000년 광서 소수민족 구성비2000년 중국 내 인구좡족(壯, Zhuang)1,420만 7,14384.4178%1,617만 8,811야오족(瑶, Yao)147만 2,9468.7521%263만 7,421먀오족(苗, Maio)46만 2,9562.7508%894만 116동족(侗, Dong)30만 3,1391.8012%296만 293무라오족(仫佬, Mulao)17만 2251.0115%20만 7,352마오난족(毛南, Maonan)7만 3,5780.4372%10만 7,166회족(回, Hui)3만 2,5120.1932%981만 6,805부이족(布依, Bouyei)2만 8260.1237%297만 1,460징족(京, Jing)2만 1230.1196%2만 2,517수이족(水, Shui)1만 5,4760.0920%40만 6,902이족(彝, Yi)9,7120.0577%776만 2,272만주족(滿, Manchu)9,5760.0569%1,068만 2,262몽골족(蒙古, Mongolian)8,6510.0514%581만 3,947투쟈족(土家, Tujia)4,6300.0275%802만 8,133거라오족(仡佬, Gelao)3,8200.0227%57만 9,358리족(黎, Li)2,9970.0178%124만 7,814티베트족(藏, Tibetan)2,1940.0130%541만 6,021조선족(朝鲜, Korean)2,0080.0119%192만 3,842위구르족(维吾尔, Uyghur)1,5500.0092%839만 9393총합16829564100%7,724만 3,388표 1 광서좡족자치구 주요 소수민족의 인구
광서좡족 자치구에서는 민족 자치주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한족과 장족이 광서좡족자치구 인구 4385만 가운데 4123만이라는 절대 다수를 차지하여 다른 민족이 자치주를 이를 정도의 머릿수 및 인구 비중을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대신 어느 정도 자치권이 보장된 자치현을 형성하는 경우는 많이 볼 수 있다. 광서좡족자치구에서는 총 12개의 자치현을 만들어 한족과 좡족을 제외한 소수민족에게 자치권을 주고 있다. 운남성의 그것과 비교해 특이한 점은 두 개의 ‘각족자치현’(各族自治縣)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1개의 소수민족이 자치권을 얻을 정도의 인구를 얻지는 못하지만, 여러 소수민족들이 상당수 존재하여 스스로의 이익을 보호할 필요 및 권리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설치해두는 현으로 특정한 소수민족이 독자적으로 주도하고 있는 자치현은 아니다.
야오족진시우(金秀) 야오족 자치현, 뚜안(都安) 야오족 자치현, 바마(巴馬) 야오족 자치현, 푸촨(富川) 야오족 자치현, 따화(大化) 야오족 자치현, 꽁청(恭城) 야오족 자치현먀오족룽수이(隆水) 먀오족 자치현동족싼쟝(三江) 동족 자치현무라오족뤄청(羅城) 무라오족 자치현마오난족환쟝(環江) 마오난족 자치현기타룽성(龍勝) 각족자치현, 룽린(隆林) 각족자치현표 2 광서 소수민족들의 자치현 현황. 총 12개. 출처: 中國民族信息年鑑 2005년판 (중국 북경: 中國民族信息年鑑 編輯委員會, 2005), pp. 678-682, 정재남, 중국소수민족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p. 1095에서 재인용.
2. 언어학적으로 본 광서좡족자치구의 소수민족
광서좡족자치구의 공식적인 소수민족들을 언어를 기준으로 분류해보면 알타이 어족 몽골 어군으로 몽골족이 있고, 퉁구스 어군으로 만주족이 존재한다. 한(漢)․장(藏) 어족, 즉 중국․티베트 어족에 속하는 민족이 가장 많은데, 한(漢)어군에 속하는 것이 회족이며, 티베트․미얀마 어군에 속하는 것이 이족, 먀오․야오 어군에 속하는 것이 먀오족과 야오족이다. 캄․타이 어군에 속하는 것이 좡족, 부이족, 수이족, 동족, 마오난족, 무라오족이 있다. 베트남계 민족인 징족은 한장 어족 캄․타이 어군으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지만, 이에 대한 이견도 많아 어족 자체도 한․장 어족이 아니고 오스트로아시아 어족의 민족이라는 주장도 있다.
어족어군민족알타이 어족몽골 어군몽골족퉁구스 어군만주족투르크 어군위구르족한국 어군조선족한(漢)장(藏) 어족한(漢) 어군회족티베트․미얀마 어군이족티베트족투쟈족먀오․야오 어군먀오족야오족거라오족캄․타이 어군좡족부이족수이족동족마오난족무라오족리족불명징족표 1 언어학적으로 본 광서좡족자치구 소수민족 분류. 작은 글씨는 1천명 이상 5천명 이하의 민족.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광서좡족자치구에서 가장 많은 하부민족을 가지고 있는 어군은 캄․타이 어군이다. 특히 주도적인 민족은 좡족이 캄․타이 어군에 속한다는 점은 이 어군의 민족들이 이 지역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해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어군에 속하는 민족은 좡족 외에도 부이족, 수이족, 동족, 마오난족, 무라오족, 그리고 5천명의 인구를 기록하지는 못하였지만 2천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리족이 있다.
운남성에서 이족․바이족․하니족․리수족․라후족․나시족․징포족․티베트족․아창족․푸미족․노족․지노족․두롱족 등 티베트․미얀마 어군의 민족이 다수를 차지했던 것과는 달리, 광서좡족자치구에서는 티베트․미얀마 어군에 속하는 민족 중 5천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는 민족은 이족 단 하나 뿐이며, 그나마도 인구가 9,712명에 불과하여 운남성 이족 인구인 470만 5,658명에 비교도 되지 않는다. 인접한 성인데도 불구하고 티베트․미얀마 어군의 민족이 운남성과는 다르게 매우 적다는 점은 광서좡족자치구의 민족은 다른 지역의 민족과의 민족 간 이동 및 융합이 원활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산이 많아 교통이 불편한 광서좡족자치구의 자연환경이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먀오족과 야오족은 학자에 따라 오스트로아시아 어족의 몬․크메르 어군에 넣어야 한다는 견해도 있을 정도로 이들 어족에 속하는 민족과 유사성이 많은데, 오랜 세월 한․장 어족 집단과 생활하여 언어 상의 동화를 일으켜 이들과의 유사성이 훨씬 더 많아졌다고 한다. 먀오족과 야오족은 선조가 같은 민족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역사적으로 야오족이 먀오족보다 한화(漢化)된 정도가 크고 한족에 대하여 덜 반항적이었다.
Ⅱ. 광서좡족자치구의 소수민족들
1. 좡족(壯族, Zhuang)
좡족은 중국 최대 소수민족으로 2000년 인구 조사에서 1,617만 8,811명을 기록하였다. ‘좡’이라는 호칭은 그들의 조상이 스스로를 부르던 이름 중의 하나였다. 한자로는 한때 동(僮)으로 표기하였으나, 이의 중국식 발음이 ‘쫭’이었으므로 좡족의 자칭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僮은 어린아이, 하인 등 아랫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므로 1965년 주은래의 주도로 이의 한자 표기를 바꾸어 오늘날과 같은 壯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좡족은 한족, 야오족, 먀오족 등 다른 민족과 섞여 살고 있는데, 운남성, 광동성, 귀주성, 해남성, 호남성, 하북성 등에도 거주하고 있지만 그 인구의 87% 정도가 광서좡족자치구에 집중되어 있어, 2000년 조사에서 광서좡족자치구에 거주하는 좡족의 숫자는 1,420만 7,143명을 기록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좡족 인구가 많은 지역은 난닝(南宁), 리우주(柳州), 종주오(崇左), 라이빈(来宾), 바이세(百色), 헤치(河池) 지구를 꼽을 수 있다.
지역좡족 인구지역좡족 인구광서좡족자치구14,207,143운남성1,144,021광동성 570,200귀주성 52,065해남성 50,507호남성 23,559하북성 20,832절강성 18,998복건성 10,818표 2 중국 내 좡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좡족은 역사적으로 진시황 때 한족에 의해 정복되어 통치되기 시작하였으며, 많은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계속 한족의 통치를 받아 오다가 명 말기 이후 오늘날의 광서좡족자치구 등 좡족 거주 지역에 한족이 대거 유입되면서 급속히 한화되게 되었다.
좡어는 한․장 어족의 캄․타이 어군 좡․타이어 갈래에 속하는데, 광서좡족자치구 중간을 흐르는 주(珠)강을 경계로 북부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크게 구분된다. 북부방언은 부이족 언어와 매우 유사하다.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북부 방언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에 의해 좡어의 표준어로 권장되고 있다. 대다수의 좡족이 좡어 외에도 한어나 타이어를 사용할 줄 안다.
문자의 경우, ‘고장문’(古壯文)또는 ‘방괴송자’(方塊宋字)라고 불리는 당나라 때부터 쓰던 방괴문자 형식의 좡족 고유의 문자가 존재했다. 그러나 이 문자는 사용법이 복잡하여 널리 쓰이지는 않았다. 이에 1950년 대에 중국 정부가 라틴 자모를 이용하여 좡어의 북부방언을 기본으로 한 좡족 문자를 만들어 보급해 주었다고 한다.
좡족은 청색을 숭상하여 이 계통의 옷을 즐겨 입는다. 남자들은 긴바지를 입고, 여자들은 꽃무늬가 허리둘레에 새겨진 긴 바지나 치마를 즐겨 입는다. 옷에 은장식을 하는 것도 즐긴다. 도시에 사는 좡족, 젊은 층의 좡족은 한족과 같은 복장을 하는 경우가 많다.
좡족은 일찍부터 수리 관개를 이용한 벼농사를 하였고 재배 기술도 뛰어나다. 쌀을 주식으로 하고, 옥수수, 고구마 등 여러 잡곡을 부식으로 먹는다. 또한 절인 고기와 단 음식을 먹는 것도 좋아한다. 차도 즐겨서 유채로 만든 기름에 볶은 여러 가지 곡식을 녹차에 넣고 함께 끓여서 만드는 유차(油茶)를 많이 먹으며, 손님에게도 내놓는다. 명절 때에는 보라색의 등나무 덩굴로 만든 보라색 물, 국화로 만드는 노란색 물, 단풍잎으로 만드는 빨간 물 등으로 찹쌀에 여러 가지 색깔로 물을 들인 후 쪄내어 검은색, 붉은색, 노란색, 보라색, 흰색의 오색 밥을 지어 먹는다. 평상시에도 이 오색찹쌀밥을 만들어 주먹밥으로 해서 먹는다. 같은 방법으로 달걀, 오리알, 거위알 등을 물들여서 먹기도 하며, 운남성의 문산(文山)좡족먀오족자치주 등의 지역에서는 음력 3월 3일 등에 찹쌀을 ‘크람’이라는 나뭇잎으로 싸서 붉은색 물을 들이게 하여 붉은 밥을 짓는 관습이 있다. 좡족 여성이 빈랑(betel) 열매를 씹는 풍습이 광서 지방의 서남쪽을 중심으로 여전히 남아있으며 이를 손님 접대를 위해 내놓기도 한다.
전통적인 가옥은 간란누방(干欄樓房, galans)인데, 간란누방은 직사각형 형태의 목조 집으로, 지역에 따라서는 대나무로 집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평지나 비교적 습하지 않은 지역에 사는 좡족들은 한족의 영향을 받아, 한족과 같이 1층짜리 집을 짓고 사는 경우도 많다. 이때 1층짜리 집은 나무, 벽돌, 흙, 띠(茅) 등으로 만든다. 현대화와 한화의 영향으로 철근콘크리트로 만든 집이나 벽돌로 만든 기와집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예로부터 금속기술, 은세공, 목공, 방직공예 등이 뛰어났으며 특히 좡족의 여성이 목화실과 오색의 비단실로 짠 좡진(壯錦)이 유명하다. 산가(山歌)와 연극이 성행하며, 동고(銅鼓)를 연주하며 춤추는 풍습도 있다.
좡족은 15세가 되어야 성인으로 인정받아 연애 혹은 결혼을 할 수 있다. 단, 4~5대(代) 이내의 같은 성을 가진 혈족 간에는 결혼이 금지된다. 좡족의 사회는 일부일처제 사회이며 자유로운 연애의 풍습도 있었지만 혼인은 주로 부모들이 결정하였다. 또한, 결혼 후에 아내가 남편 집에 머물지 않고 결혼 다음날 부모에게 돌아와 함께 살며 명절이나 농번기에만 남편에게 찾아가는 특이한 관습이 있다. 이 경우, 좡족 아내는 결혼 후 첫 아이를 출산한 이후에만 친정을 떠나서 남편과 함께 계속 살 수 있다. 그러나 공산화 및 현대화와 함께 이 관습도 사라져가고 있으며, 대신 자유연애와 본인 의사에 의한 결혼이 늘어나고 있다.
토장이 전통적인 장례 방식이며, 사람이 죽으면 몸을 씻어주고 관에 넣을 때 손, 눈, 혀 밑 등에 돈을 놓아 저승길 노자로 쓰게 한다. 묘지에는 상징적으로 집을 지어놓고 사망자가 쓰던 도구들을 순장품으로 놓아둔다. 지역에 따라 죽은 후 몇 년 후에 유골에서 뼈를 추려내어 항아리에 담아 밀봉 보관하며 받드는 곳도 있다. 한족의 영향으로 집집마다 대청 가운데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명절 때마다 향을 올리며, 성씨를 단위로 사당을 세워 사당 안에 역대 조상들의 신주들을 모셔 조상에 대한 존경을 표시한다.
좡족의 종교는 조상숭배와 자연숭배를 기초로 하며, 대승불교와 도교도 받아들였다. 가장 숭배하는 것은 부락신과 토지신이다. 마을마다 이들을 위한 신당이 만들어져 있고 마을 어귀의 나무아래에는 돌 두 개를 놓아 부락신의 우상으로 삼고 있다. 음력섣달 그믐날에 부락신을 위한 제사를 하는데, 이날 저녁 제물로 썼던 고기와 죽을, 아이가 있는 며느리 방 앞에 놓아 아이의 건강을 기원하고, 또한 죽을 가축에게 먹여 가축의 건강을 기원한다.
용제사도 좡족들이 공통적으로 지내는 제사의식이다. 해매다 돼지를 잡아 제사를 지내 풍작과 건강을 기원한다. ‘화왕성모(花王聖母)’라는 우리의 삼신할매와 유사한 노파신은 아이들의 수호신인데, 좡족 여성들은 아기를 낳으면 산모의 침대 머리 쪽 벽에 들에서 꺾어온 꽃묶음을 걸어 놓아 신주로 삼는다. 아이는 자란 뒤 해마다 설에 잠자리에서 일어나면 이 꽃묶음에 절한다.
불교와 도교도 좡족의 고유신앙과 결합하여 관제묘, 대왕묘, 대신묘 등 이와 관련된 시설이 많이 있다. 무당은 자신들의 경전이 있는데 이것은 한문이나 좡족의 옛 문자로 쓴 것이며 좡족의 신화전설이 그 내용이다. 무당이 좡족의 민간신앙과 문화의 전승자 역할을 한다.
19세기에 기독교도 들어왔지만 도시 지역에 영향을 끼쳤을 뿐 그다지 전파되지는 못했다.
2. 야오족(瑶, Yao)
야오족은 중국 남부와 남서부의 산악 지대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이다. 2000년 인구조사에서는 263만 7,421명이 중국에 거주한다고 조사되었고, 베트남에도 47만 정도가 살고 있으며 라오스 북부와 미얀마에도 거주하고 태국 북부에도 6만 정도가 살고 있다. 중국에서는 광서 좡족 자치구, 호남성, 광동성, 운남성, 귀주성 등에 거주하며 특히 광서좡족자치구에 인구의 55.8%인 147만 2,946명(2000년 기준)이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리우주(柳州), 귀이린(桂林), 헤주(贺州), 이세(百色), 헤치(河池), 라이빈(来宾) 지구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광서좡족자치구의 동남쪽에 있는 섬인 해남도(海南島)에도 6만 1천 정도의 야오족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자신들을 먀오족이라고 보고 중국정부도 이들을 먀오족으로 분류하고 있다.
지역야오족 인구지역야오족 인구광서좡족자치구 1,471,946호남성 704,564광동성 202,667운남성 190,610귀주성 44,392표 3 중국 내 야오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진한(秦漢) 시대의 야오족은 지금의 호남성 일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한족의 세력에 밀려 차츰 남쪽으로 내려오게 되었고, 광서 지역으로 오게 된 것은 수당 시대에 전쟁과 과도한 세금 및 부역을 피하여 호남성 일대로부터 이주하게 되면서부터였다. 원명 시대에 더욱 대규모로 광서 및 광동 지역으로 이주하였고, 일부는 지금의 귀주성 및 운남성 지역에도 터를 잡고 살게 되었다.
야오족이 쓰는 언어로는 면어(勉語), 포노어(布努語), 랍가어(拉珈語)의 모두 세 가지가 있다. 이들은 모두 한․장 어족 먀오․야오 어군에 속하는데, ‘면어’는 야오어 갈래에 속하고, 상호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4가지 방언이 있다. ‘포노어’는 먀오어 갈래에 속하며 방언 간 소통이 매우 어려운 3가지 방언이 있다. 랍가어는 방언 구분이 없으며 동수(侗水)어 갈래에 속한다. 야오족은 이렇게 언어가 복잡하여 야오족 간의 의사소통에도 지장이 있을 정도지만, 한어와 좡어 등 다른 언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많다.
1984년에 중국정부가 라틴 알파벳을 기초로 이들을 위한 문자를 만들어 주었으며 그 이전에는 독자적인 문자가 없었고 다만 나무에 금을 새겨 일을 기록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독자적인 문자가 만들어진 후에도 언어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문자가 널리 통용되지 못하고 대신 한자가 많이 통용되고 있다.
야오족의 복장은 지역에 따라 다른데, 남자의 상의는 허리띠를 매며 남색, 흑색 옷을 주로 입는다. 부녀는 목깃이 없는 옷을 입고 허리띠를 두르며 주름치마, 긴 바지, 또는 짧은 바지를 즐겨 입고 짧은 바지도 입는다. 은 장신구와 목걸이는 남녀 모두 즐겨 착용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의 야오족은 화전농업과 수렵을 생업으로 삼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새로운 경지나 수렵장을 찾아 이동하는 생활을 해왔는데, 현재는 정주하며 밭이나 산비탈을 일구어 농업을 하고 있다. 정주하는 과정에 향 인민 정부가 이들의 정주를 돕기 위해 농업 기술이 우수한 동족(僮族)이나 부이족 등 다른 민족을 투입하여 이들의 농업이나 촌락 운영을 지도하도록 했기 때문에 야오족 촌락 내에 다른 민족이 섞여 있는 경우도 많다.
야오족은 주로 논벼․옥수수․고구마 등을 재배하고, 콩․호박․고추 등의 채소도 많이 재배한다. 식용유를 얻을 수 있는 유동(油桐)나무와 염료의 원료인 쪽을 재배하는 경우도 많다. 주식은 쌀이며 일부 지방에서는 옥수수를 주식으로 하기도 한다. 고구마, 콩 등은 부식으로 활용된다. 손님이 왔을 때는 차 잎을 기름으로 볶아 쌀․콩․땅콩을 넣어 만든 유오차(油茶)를 내놓는 관습이 있으며 특히 광서 북부의 요족이 유오차를 즐긴다. 광서 서부 일대의 야오족은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를 연기에 말려 먹는 것을 즐긴다. 야오족은 식사에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으며 거북이․뱀․개고기․뱀장어를 절대 먹지 않는다. 특히 개는 야오족 시조신화에서 조상으로 나오기 때문에 개고기를 먹는 것은 매우 금기시된다.
야오족의 주택은 직사각형 모양이고 나무와 대나무로 짓는다. 집을 지을 때는 길일을 선택하여 산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짓는다. 보통 세 개의 방으로 이루어지는데, 각 방마다 구석에 조그만 화구가 있어 요리를 할 수 있다. 지역에 따라 1층 집이 주인 곳도 있고, 2, 3층짜리 집을 지을 때도 있다. 2층 집은 언덕 경사에 많이 지으며, 2층은 생활공간, 1층은 외양간, 헛간으로 쓴다. 3층으로 만들 경우는 1층은 축사, 2층은 사람의 생활공간, 3층은 창고로 활용한다.
마을의 중요한 일은 마을 장로회인 ‘야오라오(瑶老)’가 결정하는데, 이들은 최고 책임자인 ‘톈장궁(天長公)’과 그 보좌인 ‘터우무궁(頭目公)’, 군사지도자인 ‘관스터우(管事頭)’ 등으로 역할을 분담하는 경우도 있다. 광서장족자치구 진시우(金秀) 요족 자치현 내 대요(大瑤)산 일대의 야오족은 마을의 규정을 돌비석에 세워서 분쟁을 해결하는 기준으로 삼는 관습이 있었다.
여자는 15~16세가 되면 머리에 빨간 수건을 돌려 매어 자신이 성인이 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고 남자는 17세가 되면 동네의 가장 연세 많은 어른의 교훈이 담긴 노래를 듣는 것으로 성인식을 치른다. 젊은이들이 연애는 자유로운 편이지만 결혼에는 양가 부모의 허락을 모두 받아야만 한다. 남녀가 서로 결혼을 약속할 때는 서로의 손등을 피가 나도록 입으로 물어 약혼의 증거물로 삼는다. 결혼할 때 남자는 많은 지참금을 준비해야 하며, 이를 하지 못할 경우 여자의 집에서 몇 년간 일해 주는 것으로 지참금을 대신한다.
야오족의 옛 전통에서는 외삼촌이 가정의 중요한 일에 큰 발언권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결혼에 있어 외삼촌의 발언권이 매우 커서 그 가정의 딸이 외삼촌의 아들과 결혼하거나, 그럴 수 없다면 거액의 배상금을 외삼촌에게 지불해야만 하는 지역도 있다. 이는 한 집안의 딸을 다른 집안에 주면 다른 집안이 다시 딸을 줘서 갚아야 한다는 사고에서 기인한 것으로 모계 사회의 잔재라는 시각도 있다.
기본적으로 일부일처제 사회이지만 결혼 후 여자가 아이를 낳지 못하면 첩을 두는 경우는 있었다. 지역에 따라 데릴사위제, 결혼 후 신랑이 일정기간 신부 집에 머무는 풍습, 신부를 훔쳐 와서 결혼하는 풍습 등은 일부 지방의 야오족 풍습이다.
장례는 토장을 전통으로 하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 지역에 따라 화장, 시체를 묻고 나서 몇 년 후 뼈를 꺼내 항아리에 넣고 땅에 묻는 검골장(撿骨葬), 시체를 천연동굴에 입관하는 애장(涯葬) 등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교는 애니미즘과 조상 숭배를 하며, 도교를 믿는 사람도 많으며 불교나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도 있다. 제례나 의례는 도교의 영향을 받은 점이 공통점이다. 영혼불멸을 믿어 죽은 후에 사람의 영혼이 귀신이 되거나 신으로 변한다고 여긴다. 불교를 믿지 않더라도 윤회와 비슷한 관념이 있고 바람, 구름, 비, 우레를 관할하는 신들을 위한 신당을 세우고 정기적으로 제사를 지낸다. 야오족들이 믿는 신은 매우 많아서, 적으면 100가지에서 많으면 500가지에 달하는데, 그 중에는 야오족의 민족신 외에 한족의 신인 신농씨 등도 있다. 신당에 모신 신은 하나에서 10가지 정도이고, 신상은 많으면 수십 개씩이나 있으며 돌이나 나무로 만든다. 이외에도 기암괴석, 큰 나무도 신앙의 대상이다.
미신도 많아 큰 돌이 밭으로 굴러 떨어지거나 암탉이 울거나 껍질 없는 달걀을 낳는 것, 뱀이 집에 들어오거나 쥐가 사람을 무는 것을 매우 불길하게 여긴다. 이런 일들이 있거나 병에 걸린 사람이 있으면 무당을 불러 제사를 지내게 한다. 야오족 무당은 사회적 지위가 높아 세속생활에서도 지도자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무당은 종교경전을 가지고 있는데, 경전은 한문으로 쓰여 있다. 야오족들이 오래전부터 한문을 써왔기 때문이다.
야오족은 조상을 잘 모시지 않으면 조상이 그 후손을 보호해 주지 않아 나쁜 일이 생긴다고 생각한다. 성묘를 가는 것은 야오족의 보편적인 조상숭배 활동이다. 이 외에도 7월에는 조상신을 위해 가정마다 제사를 지낸다. 이때 지전을 태워 조상에게 쓸 돈을 바치고 좋은 옷을 태워 입을 것을 보내줌으로써 존경을 표시한다. 매일 식사 전에도 조상의 이름을 부르고 조상신에게 먼저 음식을 권한 뒤 먹음으로써 조상에게 존경을 표시한다.
3. 먀오족(苗, Maio)
먀오(苗)라는 호칭은 고대 갑골문자에서도 발견되는 오래된 호칭으로, 먀오족 서부 방언 지역에서의 민족 자칭을 한어(漢語)로 음역한 것이다. 원래 뜻은 ‘사람’이라고 한다.
2000년 조사에서 그 인구가 894만 116명으로 집계되었다. 먀오족은 호남성, 운남성, 사천성 등 중국 남부에 주로 거주하며, 특히 귀주성에 인구의 50%인 430만 명이 거주한다. 또한 많은 먀오족들이 중국 국경을 건너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타이 등에 살고 있다. 광서좡족자치구에서는 2000년 기준 46만 2956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롱수이(融水) 먀오족 자치현, 롱린(隆林) 각 민족 자치현, 산장(三江) 동족 자치현, 지위안(资源)현, 시린(西林)현, 롱성(龙胜) 각 민족 자치현、난단(南丹)현 등에 많이 살고 있다.
지역먀오족 인구지역먀오족 인구귀주성4,299,954호남성1,921,495운남성1,043,535중경시 502,421광서좡족자치구 462,956호북성 214,266사천성 147,526광동성 120,606해남성 61,264절강성 53,418강소성 22,246복건성 22,065표 3 중국 내 먀오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먀오족의 언어는 한장(漢藏)어족의 먀오․야오 어군의 먀오어 갈래 속한다. 먀오어는 호남서부방언인 상서(湘西) 방언, 귀주동부방언인 검동(黔東) 방언, 사천․귀주․운남 방언인 천검전(川黔滇) 방언 등 3개의 방언으로 나누어지며, 다른 방언구역에 속한다면 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없다. 한편 다른 민족과 섞여 사는 경우가 많아 다른 민족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도 많다.
고유한 민족문자는 없는데, 1904년 귀주에서 활동하던 영국 선교사가 표음문자 형태의 먀오 문자를 만들어 성경 번역본을 출판하기도 하였고, 1956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주도로 먀오족의 3대 방언마다 각각 먀오 문자를 만들어 이를 보급해 주었다.
먀오족의 전통복장은 종류가 매우 많이 그 양식이 1백여 종에 달한다. 먀오족의 전통복장은 매우 화려하여 중국 소수민족 중 복장이 가장 화려한 민족으로 손꼽힌다. 지역에 따라 복장의 색깔, 무늬, 꽃을 수놓는 위치가 달라, 그 모습에 따라 하부 민족들을 흑묘(黑苗), 홍묘(紅苗), 백묘(白苗), 화묘(花苗), 청묘(靑苗)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남자들은 짧은 상의와 긴 바지를 즐겨 입으며, 여자들은 치마나 바지를 입으며 은장식을 좋아한다. 특히 명절 때 많은 은장식품을 걸친다.
먀오족은 주로 농업을 하며 산지에 사는 먀오족은 이전에는 산비탈에 화전 농업을 주로 했지만 현재는 산비탈을 개간하거나 평지에다 하는 벼농사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평지에 사는 먀오족은 평지에 논을 이용해 잉어 등을 양식하기도 하며, 산비탈에서는 옥수수․밭벼 등을 주로 수확한다.
남부지방의 먀오족은 쌀을 주식으로 하고 옥수수․밀․콩을 부식으로 하며, 산지에 사는 먀오족은 옥수수, 메밀, 감자, 귀리, 잡곡 농사를 하며 이를 주식으로 활용한다. 광서좡족자치구의 경우는 벼농사를 많이 하여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으며, 옥수수와 밀, 콩을 부식으로 하여 생활하고 있다. 먀오족은 신맛이 나는 음식을 좋아하며 생선, 채소, 콩 등을 넣고 끓은 국, 발효시킨 야채, 절인 야채, 소금에 절인 고추 등을 즐겨 먹는다. 술도 매우 좋아하여 집집마다 술이 준비되어 있으며 손님이 오면 이를 대접한다. 술을 권할 때는 노래를 부르면서 술을 권한다.
집은 나무로 만들며 2층이나 3층집이 보통이다. 주거 형태 역시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난다. 귀주성 검동남(黔東南) 지역과 호남성 서부 지역에서는 산비탈에 다리를 세운 가옥이라는 뜻인 ‘댜오자오러우(弔脚樓)’라는 가옥을 짓는다. 이 집의 구조는 아래쪽에 긴 기둥으로 받치고 위쪽은 짧은 기둥으로 받쳐 집의 바닥을 수평상태로 만들어 집을 지어, 밑쪽의 남는 공간이 1층이 되는 2층집의 구조가 되게 만드는 것이다. '댜오자오러우’는 먀오족 뿐 아니라 부이족 등 다른 민족에게서도 발견되는 주거 형태이다. 운남성의 문산(文山) 지역의 먀오족은 대나무를 엮어 벽을 쌓고 흙을 칠하여 집을 만들며, 운남성 소통(昭通) 지역의 먀오족은 여러 개의 나무를 엇갈리게 하고 그 위에 흙을 칠한 후에 띠로 지붕을 덮어 집을 만든다.
먀오족 사회는 하나의 촌락이나 촌락 두셋을 묶어 소관(小款), 수십 호나 수백 호를 묶어 대관(大款)이라고 하여 각각 통합된 사회를 형성하여 향규(鄕規)라고 불리는 자치규약을 가지고 있었다. 먀오족의 우두머리는 치안, 전쟁, 제례 등을 통솔하였는데, 향규에 따라 권력을 행사하였다.
일부일처제인데다가 결혼한 아들은 분가해서 나가므로 먀오족의 가족은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이고, 나이든 부모는 막내아들에 의해 부양되는 것이 보통이다. 연애의 자유가 있어 서로 노래를 부르는 대가(對歌)의 형식으로 서로에게 애정을 표현한다. 귀주성 검동남(黔東南)과 운남성 동북부에도 젊은 남녀가 연애를 즐길 수 있는 장소를 따로 만들어 주기도 한다. 그러나 결혼은 반드시 부모의 동의를 받아야 할 수 있는 것이 전통적인 문화이다. 심지어는 부모들이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약혼을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여자를 납치해와 결혼할 것을 요구하여 여자의 동의를 얻으면 축하연을 성대하게 개최하고, 여자가 거절하면 놓아주는 우리의 보쌈과 비슷한 풍습도 있다. 이 경우 보통은 서로 짜고 잡아오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먀오족의 장례식은 나무로 만든 관에 시체를 넣고 매장하는 토장이 일반적이며 공동묘지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일부 지방의 먀오족은 시체를 동서로 가로뉘어 매장하는 풍습이 있다.
먀오족의 종교는 자연숭배, 귀신숭배, 조상숭배가 주가 되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 한족의 종교를 믿는 자도, 기독교를 믿는 자들도 있다. 혼의 존재를 믿어 병에 걸리는 것은 혼이 귀신에게 잡혀갔기 때문이라고 여기고, 영혼불멸을 믿어 사람이 죽으면 혼이 하늘에 올라간다고 믿는다. 사람 뿐 아니라 세상만물에도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해 큰 바위, 큰 나무, 동굴 등을 신으로 숭배한다. 특히 단풍나무를 귀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단풍나무 뿐 아니라 그 주위의 나무까지 함부로 베지 못하고 단풍나무를 벤 사람은 결혼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에게 있어 무당은 자기민족의 역사와 신화, 구전 가요를 섭렵한 지식인과 가수를 겸한다. 종교행사를 주최하고 병 치료, 복 빌기 등을 하며 어떤 무당은 한약으로 병 치료를 할 줄도 안다. 무당은 먀오족 사회에서 특권계층은 아니지만 이런 이유로 사회적 위망이 높다. 조상숭배는 어느 지역에 사는 먀오족이든 공통적인 것이다. 그들은 평상시 식사 때도 먼저 조상에게 올리는데, 특히 술과 고기를 먹을 때는 꼭 밥, 고기, 술 등을 땅에 조금씩 흘려놓아 조상이 먼저 맛보게 한다. 조상의 신주는 부뚜막 끝에 모시는데 간혹 한족의 영향으로 집 가운데 신주를 모시는 집도 있다.
손님이 오면 남자가 대문까지 가서 손님을 맞고 여자들은 먀오족 노래를 부르면서 들어오는 손님을 접대한다. 손님을 위해 닭․오리․거위 등을 잡아서 대접하는데, 제일 맛있다고 여기는 내장 부위는 모두 손님에게 내어 준다. 손님에게 있어서는, 묘족 집에서 화로를 가로타서 지나거나 발로 차면 집주인을 모욕하는 행위이며 집안에서 휘파람을 부는 것도 실례이다.
결혼식에서 과부는 신방으로의 접근이 금지되며, 귀주성 동남부의 먀오족은 부모가 죽으면 한 달 동안 다리를 건너지 않고 3년 동안 개고기, 미꾸라지, 고사리 등을 먹지 않는다.
4. 동족(侗, Dong)
동족의 자칭은 ‘캄’이고, ‘동’이라는 명칭은 한족이 부르던 호칭이다. 청나라 때는 동묘(洞苗), 동민(洞民), 동가(洞家) 등으로 불렸는데,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이후인 1954년에 소수민족으로 포함되면서 ‘동족’(侗族)으로 민족 명칭이 정해졌다.
중국에서는 2000년 기준으로 296만 293명의 인구를 보인다. 주로 귀주성의 동남부, 호남성의 서남부, 광서 좡족 자치구의 북부에 거주하고 있다. 광서에서는 30만 3,139명이 살고 있으며, 삼강(三江)、융수(融水)、룡성(龙胜) 세 개 현에 많이 살고 있다.
지역동족 인구지역동족 인구귀주성1,628,568호남성842,123광서좡족자치구 303,139호북성 69,947광동성 55,870절강성 17,906표 4 중국 내 동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진(秦)나라 이후 중국 왕조의 직접 통치를 계속해서 받아온 동족은 한․장 어족 캄․타이 어군의 동수(侗水)어 갈래에 속하며 북부방언과 남부방언의 두 가지 방언이 있다. 귀주성 용강(榕江) 지역의 말이 기준이 되는 말로 여겨지고 있는데, 광서의 동족은 남부방언 집단에 속한다. 동족어는 15개의 성조가 있어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언어 중 하나로 꼽힌다. 중국인들도 이 언어를 배우려면 30년은 걸린다고 하고 있다. 동족 중에 한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 많으며 문자도 한자를 통용하여 오다가 1959년 중국 정부가 라틴 알파벳을 기초로 한 문자를 만들어 주었다.
동족의 거주 지역은 온화하며 강수량이 풍부하여 곡물농업, 과수농업, 목축 등을 많이 하고 있으며, 가장 중심이 되는 산업은 농업이다. 찹쌀, 좁쌀, 옥수수, 수박, 오렌지 등을 많이 생산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일 년 내내 논에 물을 가두어 잉어 등을 기르는 곳도 있다. 또한 거주 지역에 경제성이 높은 삼림이 풍부하고 금, 은, 수은, 석탄, 구리, 철 등 지하자원이 많이 난다.
여자들은 옷깃이 없는 상의와 주름이 많은 치마 또는 긴 바지를 입으며, 은으로 된 장신구를 몸에 걸치는 것을 좋아한다. 남자는 옷깃이 없는 상의와 큰 통바지를 입으며 머리에 두건을 쓰는 경우가 많다. 한족과 교류가 많아지면서 동족의 의복은 변화를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주식은 쌀이며 좁쌀, 옥수수, 찹쌀 등도 부식으로 한다. 맵고 신 음식을 좋아하며, 소금에 절인 고기나 생선을 청채(靑菜), 매운 고추 등과 함께 단지 또는 나무통에 넣어서 묵혔다가 먹는 것을 좋아한다. 잉어를 사용한 초밥의 일종인 ‘옌위(腌魚)’라는 음식도 많이 먹는다. 유차(油茶)와 찹쌀술도 좋아한다. 거주지는 주로 산악지대로, 집은 대나무로 만든 2층집이다. 1층은 창고 및 가축의 축사로 사용하고 사람은 2층에 산다. 평지에 거주하는 동족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사람이 1층에 살고 2층은 창고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동족은 건축기술로 유명한 민족으로 특히 다리를 잘 놓는 것으로 유명하다. 돌다리, 나무다리, 석판다리, 참대다리 등 종류가 다양한데 가장 유명한 것이 긴 복도 모양으로 건축하여 마을 입구에 세우는 ‘풍우교’(風雨橋)이다. 또한 동족이 씨족마다 가지고 있는 마을회관 격인 고루(鼓樓)는 매우 정교하여 철제 못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틈새가 없다. 목기를 다루는 기술이 발달하여 목기 제작용 녹로를 사용하는 목기점과 이를 이용하지 않는 목기 장인의 촌락이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수십에서 수백 가구가 집촌을 이루는데 씨족끼리 보여 사는 성향이 있어, 전형적인 동족 마을은 성씨가 하나 또는 두 개뿐인 경우가 많다. 우리의 향약과 유사한 ‘관’(款)이라고 물리는 맹약(盟約)의 관습이 있어 분쟁 해결의 척도 역할을 하고 있다.
가족제도는 일부일처제이며 같은 씨족 사람끼리는 결혼할 수 없지만, 외사촌 간 결혼은 많으며, 결혼과 연애가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밤에 노래를 부르면서 같이 달을 보거나 산과 마을 주변을 함께 거니는 것이 일반적인 연애방식이다. 결혼 연령은 신부가 16~18살 정도이고 신랑은 아무리 늦어도 23살에는 결혼을 한다. 많이 사라진 풍습이기는 하지만, 결혼한 여성이 첫 아이를 출산할 때까지는 처가에 그대로 머무는 풍습이 있다. 아이가 태어나면 전나무 한 그루를 심는데, 아이가 자라 결혼을 할 때쯤이 되면 이 나무를 베어 신혼부부의 새 집을 짓는데 사용한다.
장례는 나무로 만든 관에 넣어 묻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불길하게 죽은 사람, 폐병으로 죽은 사람, 난산으로 죽은 사람, 급사한 사람 등 좋지 않게 죽은 사람의 경우는 반드시 화장을 하여 후손에게 화가 미치는 것을 막는다. 가문마다 대개 자신들의 조상묘지가 있으며, 장례를 치를 때는 반드시 무당을 불러 길일을 정한 후 행동한다.
동족의 종교는 자연숭배, 조상숭배, 귀신숭배가 많으며, 여신인 ‘싸’(薩)를 민족의 공동시조이자 제일 신으로 숭배한다. 동족은 이 신이 여러 신들을 관할하면서 곡식을 보호해준다고 여기며 마을마다 사당 또는 신당을 만들어서 받들며, 제삿날인 음력 2월 7일 도는 8일 이외에는 누구도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다. 집집마다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토지신을 숭배하여 마을 어귀와 다리 어귀에 신단을 설치하여 모신다. 지역에 따라 신단에 신주를 모시는 곳도 있고 사람모양으로 생긴 돌을 모셔놓는 곳도 있다. 불교, 도교, 천주교, 기독교도 들어왔으나 세력이 크지는 못하다.
병자가 생기면 무당을 청하여 귀신을 쫓는데 반드시 사흘 동안 문에 짚이나 풀을 매듭지어 표시를 해 두어 외인 출입을 거절한다. 만약 외인이 들어온다면 제사를 다시 해야 하고 그 외인은 사흘 동안의 제사 비용을 배상해야만 한다. 마을 자체에 병자가 많이 생기면 마을 입구를 막고 무당이 제사를 지내게 하는데 마을 양쪽 어구에 십자형으로 만드는 쑥 매듭으로 외인 출입 금지의 표식을 만든다. 봄에 농사를 시작할 때도 반드시 길일을 택하여 밭에 나간다.
5. 무라오족(仫佬, Mulao)
‘무라오’라는 명칭은 한족이 부르는 명칭으로, 자칭은 ‘링’(伶) 또는 ‘진’(謹)이라고 하며 좡족은 무라오족을 ‘후친’이라고 부른다. 인구는 2000년 기준으로 20만 7,352명이다. 광서에 인구의 82%인 17만 225명이 살고 있고, 귀주성에 28,435명, 광동성에 4,814명이 거주하고 있다. 광서에서도 특히 광서 좡족 자치구 뤄청(羅城) 무라오족 자치현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이외 이산(宜山), 류청(柳城), 신청(忻城), 뚜안(都安) 야오족 자치현, 환장(環江) 등에도 분산하여 살고 있다.
지역무라오족 인구지역무라오족 인구 광서좡족자치구170,225귀주성 28,435광동성 4,814표 4 중국 내 무라오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청나라 때 수십 호로 구성되는 동(冬)을 단위로 하는 행정조직이 만들어져, 동마다 동두(冬頭)라는 책임자가 임명되어 세금의 징수를 담당하였으며, 동 밑에 몇 개의 방(房)을 두어 각 가문의 장이 방을 담당하였다. 이 제도는 현재도 계승되어 향로가 동두의 역할을 하고 있고 족장이 방장의 역할을 하고 있어, 향로와 족장을 중심으로 향약 또는 족규(族規)라는 관습법이 운영되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언어는 한․장 어족 캄․타이 어군의 동수(侗水)어 갈래에 속하며 광서좡족자치구의 무라오족과 귀주성의 무라오족 언어 사이에는 차이가 크다. 무라오족은 인구가 적은데다 다른 민족들과 함께 거주한 역사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무라오어보다는 한어와 좡어를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민족문자도 없으며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생업은 농업이 주지만 무라오족의 주요 거주 지역은 토지 조건이 열악한 편이다. 주요 작물은 옥수수, 논벼, 각종 구근 작물과 콩류 등이며, 담배, 땅콩, 들깨, 유채, 면화, 차 등도 많이 재배하고 있다. 무라오족의 거주 지역에서 채취되는 표고버섯 및 벌꿀 등은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무라오족은 청색을 즐겨 입으며 여성들은 긴바지를 주로 입는다. 또한 은으로 만든 장신구를 몸에 걸치는 것을 좋아한다.
주식은 쌀과 옥수수이며, 고구마, 콩, 밀, 보리를 부식으로 한다. 시고 매운맛을 좋아하며 고양이와 뱀 고기는 먹지 않는다.
주거 형태는 지역에 따라 다른데, 광서 지역은 진흙으로 벽을 만든 다음 기와를 올려서 집을 만들고, 귀주 지역은 나무로 벽을 만들고 기와를 올린다. 현재는 대부분 벽돌과 기와로 만든 집에서 생활한다. 가축의 축사는 사람이 거주하는 집과 분리되어 있다.
결혼은 이른 나이에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부모가 주도적으로 결혼을 결정한다. 약혼 또는 결혼 후 이를 파기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결혼 후에는 신랑이 일시적으로 신부 집에서 사는 ‘불락부가’(不落夫家)라는 관습이 남아 있다. 여자는 남편이 죽은 후 재가를 할 때 친정집의 의견을 따를 필요가 없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지만, 재산 계승권은 없고 남자만이 재산을 계승할 권리가 있다.
장례는 토장이 전통적인 방법이며, 무당을 청하여 죽은 자를 위하여 제사를 지내며, 묘 자리를 위해 풍수를 살펴본다. 주위에서 물을 사서 시체에 뿌리는 풍습도 있다.
종교는 원시신앙, 불교, 도교가 중심이 된다. 도교가 일상생활에서 영향력이 커서, 사람이 병들거나 나쁜 일이 생기면 도사들을 청하여 귀신을 쫓는다. 무당을 무라오 말로 ‘모보(MoBo)라고 부르며, 귀신과 인간 사이를 소통하는 일을 맡는다. 무라오족의 무당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데다 대대로 이를 세습할 수 있다. 단, 여무당은 세습할 수 없으며 굿을 할 수도 없다. 집에는 조상신, 조왕신, 토지신을 모시는데, 주로 대청 가운데 있는 신루에 모신다. 조상신이 가운데 위치하고 조왕신은 오른쪽, 토지신은 왼쪽에 모셔서 매달 초하루와 보름날에 향불을 피워 올린다. 그 외 여러 신들을 신당에 모셔서 해마다 제사를 지낸다. 제사를 드리는 신의 종류가 많고 들이는 비용이 매우 많다. 가장 성대한 제사는 해마다 2월과 8월에 마을신에게 드리는 제사로, 각각 농사가 잘 될 것에 대한 기원과 농사가 잘 되게 해준 것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제사 지낸다.
6. 마오난족(毛南, Maonan)
마오난족의 인구는 10만 7,166명(2000년)이며, ‘마오난’은 한족이 부르던 호칭이다. 당초에는 ‘마오난’(毛難)이라고 쓰다가 1986년부터 ‘마오난’(毛南)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자칭은 ‘아이난’(阿南)인데, 이는 ‘이 지역의 사람’이라는 뜻이다. 중국에서의 거주 지역은 크게 두 지역으로, 광서 좡족 자치구와 귀주성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이중 광서 좡족 자치구 환장(環江)현의 상난(上南), 중난(中南), 하난(下南)의 삼남(三南) 지구에 마오난족의 70%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 외에 광서에서 마오난족이 거주하는 지역은 난단(南丹), 허디(河地), 이산(宜山), 두안(都安) 등이다. 귀주성 핑탕(平塘) 현에 거주하는 집단은 자칭을 ‘아이․라우’ 또는 ‘본․라오’라고 하며, 역사적으로 한족에게 ‘얀환’(佯僙)족이라고 불리는, 독립적인 민족이었다. 이들의 언어도 ‘얀환어’라고 불리며 ‘마오난어’와는 유사하기는 하지만 별개의 언어였다. 그러나 이들 얀환족은 역사적으로 민족집단으로 식별이 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가 1990년 마오난족의 일부로 편입되어 식별되기 시작하였다.
지역마오난족 인구지역마오난족 인구 광서좡족자치구73,578귀주성 31,240광동성 1,263표 5 중국 내 마오난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마오난어와 얀환어 모두 한․장 어족 캄․타이 어군의 동수(侗水)어 갈래에 속하며, 현재는 일상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며 많은 사람들이 한어나 좡어를 사용한다. 문자는 한자를 통용하여 왔는데, 한자의 음과 뜻을 빌어서 간략하게 만든 ‘토속자’(土俗字)라는 문자로 마오난족의 역사와 민요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가장 중심이 되는 산업은 농업인데, 마오난족의 주 거주 지역인 삼남 지구는 경작지가 적고 물도 부족하여 경작에 불리한 환경이다. 그러나 마오난족은 계단식 경작지를 만들어 논벼, 옥수수, 메밀, 콩, 고구마, 면화, 황마, 유채 등을 재배하며 소득을 올리고 있다. 또한 물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의 사육을 하고 있다.
남녀 모두 남색 혹은 청색을 기본으로 하는 의복을 즐겨 입으며, 좡족과 전통 복식이 유사하다. 여성의 옷은 옷깃의 위에 세 줄기의 검은색 테두리를 두르며 무릎에는 선을 두르는 것이 특징이다. 남성은 통이 넓은 바지를 입는다.
주식은 쌀과 옥수수이고 수수, 좁쌀, 고구마, 호박을 부식으로 먹는다. 고구마와 맑은 물로 삶은 죽순에다가 옥수수 가루, 콩, 생강, 오이, 고추. 기름, 소금 등을 넣고 찐 ‘모남반’(毛南飯)을 즐겨 먹으며, 야채를 발효시켜 만드는 산채(酸菜),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에 소금을 넣어 발효시킨 산육(酸肉), 우렁이를 위주로 돼지뼈, 찹쌀 등을 넣고 발효시킨 산라사(酸螺鰤) 등을 반찬으로 먹는다.
전통적인 가옥은 돌로 지반을 만들고 진흙으로 벽을 만들고 기와로 지붕을 올리며, 보통 3층으로 짓는다. 맨 위층은 사람이 살거나 창고로 쓰고, 중간층은 침실, 객실, 부엌 등 생활공간, 아래층은 가축의 축사 및 창고로 쓴다. 옷이나 곡물 등을 말리는 건축물을 따로 짓기도 한다.
마오난족은 사촌 간 결혼이 성행했으며 비록 결혼은 부모가 결정하였지만 연애는 자유로운 편이었다. 또한 결혼 이후에 신부가 신랑 집에 가지 않고 어느 정도 친정집에 머무는 풍습이 있었는데,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이러한 혼인 풍속들은 사라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장례는 나무로 만든 관을 이용한 토장을 주로하며, 씨족들의 공동묘지를 가지고 있다. 죽은 이를 위해 옷과 돈을 태워서 보내주는 의식을 하기도 한다.
가장 중심이 되는 종교는 조상숭배와 다신숭배로, 조상신, 조왕신, 토지신, 문신 등 10여 가지 신을 모신다. 마오난족은 한족의 영향을 받아 불교와 도교도 일상생활에 파고들어 왔는데, 불교 및 도교의 도사가 마오난족의 무당과 함께 신직자의 역할을 맡고 있다. 이들은 한문으로 쓰인 경전도 가지고 있다.
신단과 부엌은 마오난족에게 있어 신성한 곳으로 신단에 오동열매 기름이나 개고기 등을 놓는 행위, 부엌에 침을 뱉거나 함부로 발로 밟는 행위, 신부가 신랑 집에 들어올 때 신단을 올려다보는 행위 등을 금기시하고 있다.
7. 회족(回, Hui)
회족은 회회족(回回族)의 줄임말이다. 회족은 13세기 이후 중국 영내로 이주해 온 투르크․이란․아랍 등 이슬람교를 믿는 외래 민족의 후손으로 한족․몽골족․위구르 족 등과 오랫동안 함께 살며 융합하여 형성된 민족이다. 오늘날도 이슬람교는 회족의 공통 종교로 자리 잡고 있다.
중국 내 회족 인구는 2000년 인구조사에서 981만 6,805명을 기록하였다. 회족은 크게 서북쪽에 사는 서북회민, 동쪽에 사는 내지 회민으로 나눌 수 있다. 내지 회민 쪽이 한화(漢化)된 정도가 크다. 광서좡족 자치구의 회족은 3만 2,512(2000년 기준)이며, 난닝(南宁), 리우주(柳州), 귀이린(桂林) 3개 지구에 살고 있으며, 특히 귀이린 지구의 림창(灵川)현, 린귀이(临桂)현, 용푸(永福)현, 리우주 지구의 류자이(鹿寨)현에 많이 거주한다. 그러나 이 지역의 회족이 그다지 많지 않은데다 분포지역이 넓기 때문에, 자치현은 형성되지 않았으며, 자치향으로도 귀이린(桂林) 지구의 귀이린(桂林) 시에 있는 초평 회족향(草坪回族乡)이 광서좡족자치구에서 유일한 회족의 자치향이다.
지역회족 인구지역회족 인구영하회족자치구1,862,474감숙성1,184,930하남성 953,531신강위구르자치구839,837청해성753,378운남성 643,238하북성542,639산동성497,597안휘성337,571요녕성264,407북경시235,837내몽고자치구209,850천진시172,357귀주성168,734섬서성139,232강소성132,582길림성125,620흑룡강성124,003사천성109,960복건성109,880호남성97,368호북성77,759산서성61,690상해시57,514광서좡족자치구32,512표 6 중국 내 회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회족이 중국에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중국이 이슬람문명권과 접촉을 시작한 당나라 시대부터이며, 이슬람권 사람들인 색목인(色目人)을 우대한 원나라가 지금의 광서 지역을 정복하면서 원나라의 비호 아래 회족이 관원 및 병사로서 이 지역에 많이 이주하게 되었다.
회족은 민족 언어와 민족 문자가 없어서 한족과 마찬가지로 한어와 한자를 통용하고 있다. 다만 종교 용어 등으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의 어휘가 약간 섞여 있을 뿐이다. 용모도 한족과 거의 구별할 수 없다. 수니파 이슬람교를 일관되게 믿는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인데 이 때문에 돼지고기를 즐기는 한족과 마찰이 있기도 하다. 이슬람 사원인 ‘청진사(淸眞寺)’가 이들의 거주 중심지에 있으며, 청진사는 종교적 역할 외에도 회족에게 있어 서로 모여 의논을 하는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슬람교는 우상숭배를 금지하므로 청진사에 도교나 불교처럼 신의 우상을 만들어두지 않으며, 다만 몸을 정결히 하기 위한 목욕실을 두고 있다.
회족의 복식은 한족과 거의 같지만, 서북회민의 경우에는 백색이나 흑색의 테 없는 모자를 쓰는 남성이 많으며 여자는 얼굴부분만 노출하는 히잡을 착용한다.
쌀과 면을 주식으로 먹고, 차를 보편적으로 즐긴다. ‘청진(淸眞)’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식당은 회족들의 식당으로 이 식당에서는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돼지․닭․오리․말․당나귀 등의 고기나 술을 팔 않으며 소고기와 양고기 또는 낙타 고기를 위주로 요리를 내놓는다. 또한 회족은 쌀과 면을 즐겨 먹어, 밀가루를 끓는 물로 반죽하고 소금에 친후 참기름에 튀겨 먹는 작유향(炸油香) 등을 즐겨 먹고 차도 좋아한다.
집에도 대문 위에 가로로 나무를 대어 아랍어로 쓴 기도문을 붙이고 산다. 집안에는 코란 경문을 걸어두고 코란 경전을 배치한다.
공산화 이전에는 일부다처제였지만 이후는 중국의 결혼법을 준수하여 일부일처제가 대부분이다. 결혼은 보통 겨울에 많이 하는데, 특히 이슬람교의 예배일인 금요일에 하는 것을 좋아한다. 서북 회민의 경우에는 하객들이 신랑 측 부모를 놀리는 것이 결혼에 축복을 하는 것으로 여긴다. 회족 여성은 회족 이외의 남성과 결혼할 수 없지만, 회족 남자는 회족 이외의 여성이라도 이슬람교를 따르기만 한다면 결혼할 수 있다.
장례는 토장을 하며, 반드시 3일 내에 매장하고 관의 사용이나 부장품을 금지하고 있다. 단지 시체를 깨끗이 닦고 흰 천으로 싼 후에 매장한다.
그러나 광서좡족자치구의 회족은 한화가 많이 진행되어, 한족처럼 돼지고기를 먹는 회족도 꽤 많고 이슬람교의 율법을 극성으로 지키지는 않는다.
8. 부이족(布依, Bouyei)
부이족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등에 살며 중국에서는 2000년 조사에서 297만 1,460명으로, 56개 민족 중 11번째로 많다. 중국에서는 귀주성과 운남성, 광동성, 절강성의 아열대 고원 삼림지대에서 산다. 광서좡족자치구의 부이족 인구는 비교적 소수로, 2000년에 2만 826명을 기록하였다. 광서좡족자치구에서에서는 귀주성과 인접한 북부 및 서북부에 부이족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부이’는 자칭이며, 과거 한족에 의해 중가(仲家), 중만(仲蠻), 이가(夷家), 수가(水家) 등으로 불렸다.
지역부이족 인구지역부이족 인구 귀주성2,798,200운남성 54,695광동성 23,237절강성21,457광서좡족자치구 20,826표 5 중국 내 부이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부이어는 한․장 어족에서 캄․타이 어군에 속하며 좡족과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민족이라는 주장이 지배적일 정도로 언어가 좡족과 비슷하다. 방언 구분은 없으며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3개의 사투리로 구분된다. 고유 문자는 없었으나 1956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라틴 알파벳을 기초로 문자를 만들었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부이족의 의복은 남자의 경우 한족과 거의 차이가 없게 되어 버렸지만, 여자의 복장은 아직 전통이 남아 있으며, 귀주성 중서부의 여자들을 제외하면 치마 대신 바지를 입는다. 지역에 따라 상의의 길이, 바지폭의 크기, 바지 단 및 상의 테두리의 장식 등이 차이가 난다.
부이족은 주로 평야에서 벼농사를 지으며 전통적으로 찹쌀을 재배한다. 이외에도 밀․기장․메밀․감자․콩을 많이 재배하며 목화․모시․담배․사탕수수․유․차, 그리고 그 기름을 짜 차에 첨가하는데 쓰는 동백나무도 많이 심는다. 평야지대에서는 쌀이 주식이고 일부 산악지대에서는 옥수수가 주식이다. 거의 모든 지역에서 밀, 보리 등을 경작하며 밀로 만든 면을 즐겨 먹는다. 찹쌀도 좋아하여 찹쌀로 떡 모양을 만들어서 먹는 것도 즐긴다. 시큼한 음식, 소금에 절인 야채, 개고기를 즐겨 먹으며, 쌀로 빚은 술도 좋아한다.
집은 이 지역 다른 소수민족과 유사한 간란 형식이 전통이다. 그러나 나무 대신 돌, 벽돌 등으로 지은 집도 많다.
부이족은 예술과 수공업에도 뛰어나다. 특히 그들이 만드는 납염 기술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부이족은 손님을 접대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겨 손님이 오면 반드시 담배와 차를 권하고 극진히 대접한다. 또한 손님에게 오리의 머리와 다리를 주어 호의를 표시한다. 주인은 손님 앞을 지나다니지도 않고 반드시 뒤로 돌아가서 존중을 표시한다.
일부일처제 사회이며 전통적으로 연애가 자유로운 편으로 배우자 선택도 자유로웠다. 그러나 명청 시대에 한족 문화의 영향으로 자녀의 혼인 문제는 부모가 결정하게 되었고 중매 제도가 자리잡 았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에는 다시 자유로운 분위기로 회귀하고 있다. 한편, 부이족 여자는 결혼한 후에 다시 자기 집에 와서 1년 반에서 5년 후에야 다시 신랑 집으로 돌아가는 관습이 있다고 한다.
장례는 토장이 공통적이며, 무당이 장례의식을 주도한다.
종교는 애니미즘과 조상숭배 중심이며 한족과의 접촉으로 불교, 도교의 영향도 받았고 청나라 말기부터 기독교도 들어왔으나 매우 소수이다.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이 저승으로 가서 귀신이 된다고 믿는데, 특히 조상의 영혼이 자신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여기며 숭배한다. 악한 귀신이 질병과 재앙을 일으킨다고 여겨 일이 생기면 무당을 청해 각종 제사의식을 치른다. 부이족의 집단적 제사의식이 3월 3일과 6월 6일에 있는데 이때 마을마다 돼지나 소를 잡아 산신, 부락신, 토지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이런 제사를 지낼 때는 외인이 마을에 들어가지 못한다. 지역에 따라 3월 3일에 제사 대신 성묘를 하는 곳도 있고, 6월 6일에 제사 대신 6월장을 열어 주위 사람들이 모이기도 한다. 개가 지붕에 올라가거나 혜성이 나타났을 때도 불길하게 여겨 무당을 청해 굿을 하는 등 미신이 많이 남아있으며, 닭을 삶아 뼈를 발라낸 뒤 뼈를 맞추어 보는 닭점이 보편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쌀과 달걀을 이용해 점을 보는 것도 많이 한다.
9. 징족(京, Jing)
징족은 베트남계의 민족이다. 16세기부터 베트남으로부터 이주하여왔다고 여겨지는 이 민족은 1944년 일본군에 맞서 용감히 유격전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자칭이자 공식적인 민족 이름은 한자로 京이라고 하는데 중국식 발음은 ‘징’이며, 베트남 사람은 이 한자를 ‘킨’이라고 발음하며 광동어로도 ‘킨’이라고 읽기 때문에 ‘킨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중국에 살고 있는 인구는 2000년 기준 2만 2517명으로 광시 좡족 자치구에 전체 인구의 89.4%인 2만 123명이 거주하고 있다. 특히
김재원 (한국민족연구원, 연구원)
Ⅰ. 개괄
광서좡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는 중국 남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운남성의 동쪽, 귀주성의 남쪽, 호남성의 남서쪽, 광동성의 북서쪽에 접해 있으며, 남서쪽으로는 베트남에 인접해 있고, 남쪽은 통킹만이다. 광서 지방은 산이 많기로 유명하여 흔히 중국에서 이 지역을 ‘팔산일수일분전’(八山一水一分田)이라고 불렀다. 즉 팔할이 산이고, 일할이 물이고, 나머지 일할이 농사지을만한 땅이라는 뜻이다. 가장 높은 산은 마오얼 산(猫儿山)으로 2,141m에 달한다.
2000년 중국 총인구조사에서 광서의 인구는 모두 4385만 명 정도였는데, 이중 소수민족은 1683만 명 정도로 전체 인구의 38.38%를 차지하여,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소수민족인 자치구임을 나타내었다. 이는 인접한 운남성의 소수민족 인구인 1천 4백만 명보다도 많고, 같은 소수민족 자치구의 위치를 가지고 있는 내몽고 자치구의 490 만, 서장 자치구의 250만, 영하회족자치구의 190만, 신강위구르 자치구의 1천 1백만보다도 많은 숫자이다. 광서좡족자치구는 중국에서 소수민족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성급 행정기관인 것이다.
광서에는 14개의 지급시(地级市), 113개의 현, 시, 구가 있는데, 이중 민족자치현이 12개가 있으며, 이외 3개 현이 공식적으로는 민족자치현이 아니지만 자치현의 특별대우를 받고 있다. 또한 1321개의 진(镇)이 있으며 이중 소수민족 자치를 하는 진이 58개가 있다.
한족(漢族)을 제외하면 중국에 살고 있는 공식적인 소수민족은 55개가 있는데, 광서좡족자치구에 살고 있는 인구 1천 명이 넘는 소수민족은 모두 19개이며, 성급 행정기관의 공식적인 소수민족으로 인정받기 위한 조건인 1개 성에서 5천명 이상의 인구를 보이는 민족은 13개 민족이 있다.
주지하듯이, 소수민족 분류의 기준은 중국 정부의 자의적인 것으로, 각 소수민족의 일부로 간주되는 민족집단들도 독자적인 민족성이 매우 강한 경우가 많고, 민족 내부의 이질감이 심한 민족들도 많다. 예를 들어, 마오난(毛南)의 일부로 분류되는 얀환(佯僙)족은 독자적인 민족 정체성이 강해 마오난족과 별개의 민족이라고 스스로 주장하고 있으며, 먀오족(苗)과 야오족(瑶) 등은 민족 내부의 여러 집단들 간의 이질감이 매우 크다.
1. 광서좡족 자치구의 소수민족 현황
자치구 내에서 5천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는 집단은 좡족(壯), 야오족(瑶), 먀오족(苗), 동족(侗), 무라오족(仫佬), 마오난족(毛南), 회족(回), 부이족(布依), 징족(京), 수이족(水), 이족(彝), 만주족(滿), 몽골족(蒙古)의 13개 민족이다. 가장 많은 소수민족은 자치구의 중심민족인 좡족으로, 1420만 명을 기록하여 자치구 소수민족 중 84.42%의 절대다수를 점유하고 있다. 이외 야오족 147만명, 먀오족 46만, 동족 30만, 무라오족 17만, 마오난족 7만 3천, 회족 3만 2천, 부이족 2만 8천, 징족 2만, 수이족 1만 5천의 순이다. 공식적인 소수민족 중 가장 인구가 적은 것은 몽골족으로 8,651명을 기록하였다. 투쟈족(土家)은 4,630명을 기록하여 5천명을 넘지 못했으며, 거라오족(仡佬) 3,820명, 리족(黎) 2,997명, 티베트족(藏) 2,194명, 조선족 2,008명, 위구르족(维吾尔) 1,550명 등의 인구를 기록하였다.
민족(한문, 영어식 발음)2000년 광서 내 인구2000년 광서 소수민족 구성비2000년 중국 내 인구좡족(壯, Zhuang)1,420만 7,14384.4178%1,617만 8,811야오족(瑶, Yao)147만 2,9468.7521%263만 7,421먀오족(苗, Maio)46만 2,9562.7508%894만 116동족(侗, Dong)30만 3,1391.8012%296만 293무라오족(仫佬, Mulao)17만 2251.0115%20만 7,352마오난족(毛南, Maonan)7만 3,5780.4372%10만 7,166회족(回, Hui)3만 2,5120.1932%981만 6,805부이족(布依, Bouyei)2만 8260.1237%297만 1,460징족(京, Jing)2만 1230.1196%2만 2,517수이족(水, Shui)1만 5,4760.0920%40만 6,902이족(彝, Yi)9,7120.0577%776만 2,272만주족(滿, Manchu)9,5760.0569%1,068만 2,262몽골족(蒙古, Mongolian)8,6510.0514%581만 3,947투쟈족(土家, Tujia)4,6300.0275%802만 8,133거라오족(仡佬, Gelao)3,8200.0227%57만 9,358리족(黎, Li)2,9970.0178%124만 7,814티베트족(藏, Tibetan)2,1940.0130%541만 6,021조선족(朝鲜, Korean)2,0080.0119%192만 3,842위구르족(维吾尔, Uyghur)1,5500.0092%839만 9393총합16829564100%7,724만 3,388표 1 광서좡족자치구 주요 소수민족의 인구
광서좡족 자치구에서는 민족 자치주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한족과 장족이 광서좡족자치구 인구 4385만 가운데 4123만이라는 절대 다수를 차지하여 다른 민족이 자치주를 이를 정도의 머릿수 및 인구 비중을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대신 어느 정도 자치권이 보장된 자치현을 형성하는 경우는 많이 볼 수 있다. 광서좡족자치구에서는 총 12개의 자치현을 만들어 한족과 좡족을 제외한 소수민족에게 자치권을 주고 있다. 운남성의 그것과 비교해 특이한 점은 두 개의 ‘각족자치현’(各族自治縣)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1개의 소수민족이 자치권을 얻을 정도의 인구를 얻지는 못하지만, 여러 소수민족들이 상당수 존재하여 스스로의 이익을 보호할 필요 및 권리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설치해두는 현으로 특정한 소수민족이 독자적으로 주도하고 있는 자치현은 아니다.
야오족진시우(金秀) 야오족 자치현, 뚜안(都安) 야오족 자치현, 바마(巴馬) 야오족 자치현, 푸촨(富川) 야오족 자치현, 따화(大化) 야오족 자치현, 꽁청(恭城) 야오족 자치현먀오족룽수이(隆水) 먀오족 자치현동족싼쟝(三江) 동족 자치현무라오족뤄청(羅城) 무라오족 자치현마오난족환쟝(環江) 마오난족 자치현기타룽성(龍勝) 각족자치현, 룽린(隆林) 각족자치현표 2 광서 소수민족들의 자치현 현황. 총 12개. 출처: 中國民族信息年鑑 2005년판 (중국 북경: 中國民族信息年鑑 編輯委員會, 2005), pp. 678-682, 정재남, 중국소수민족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p. 1095에서 재인용.
2. 언어학적으로 본 광서좡족자치구의 소수민족
광서좡족자치구의 공식적인 소수민족들을 언어를 기준으로 분류해보면 알타이 어족 몽골 어군으로 몽골족이 있고, 퉁구스 어군으로 만주족이 존재한다. 한(漢)․장(藏) 어족, 즉 중국․티베트 어족에 속하는 민족이 가장 많은데, 한(漢)어군에 속하는 것이 회족이며, 티베트․미얀마 어군에 속하는 것이 이족, 먀오․야오 어군에 속하는 것이 먀오족과 야오족이다. 캄․타이 어군에 속하는 것이 좡족, 부이족, 수이족, 동족, 마오난족, 무라오족이 있다. 베트남계 민족인 징족은 한장 어족 캄․타이 어군으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지만, 이에 대한 이견도 많아 어족 자체도 한․장 어족이 아니고 오스트로아시아 어족의 민족이라는 주장도 있다.
어족어군민족알타이 어족몽골 어군몽골족퉁구스 어군만주족투르크 어군위구르족한국 어군조선족한(漢)장(藏) 어족한(漢) 어군회족티베트․미얀마 어군이족티베트족투쟈족먀오․야오 어군먀오족야오족거라오족캄․타이 어군좡족부이족수이족동족마오난족무라오족리족불명징족표 1 언어학적으로 본 광서좡족자치구 소수민족 분류. 작은 글씨는 1천명 이상 5천명 이하의 민족.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광서좡족자치구에서 가장 많은 하부민족을 가지고 있는 어군은 캄․타이 어군이다. 특히 주도적인 민족은 좡족이 캄․타이 어군에 속한다는 점은 이 어군의 민족들이 이 지역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해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어군에 속하는 민족은 좡족 외에도 부이족, 수이족, 동족, 마오난족, 무라오족, 그리고 5천명의 인구를 기록하지는 못하였지만 2천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리족이 있다.
운남성에서 이족․바이족․하니족․리수족․라후족․나시족․징포족․티베트족․아창족․푸미족․노족․지노족․두롱족 등 티베트․미얀마 어군의 민족이 다수를 차지했던 것과는 달리, 광서좡족자치구에서는 티베트․미얀마 어군에 속하는 민족 중 5천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는 민족은 이족 단 하나 뿐이며, 그나마도 인구가 9,712명에 불과하여 운남성 이족 인구인 470만 5,658명에 비교도 되지 않는다. 인접한 성인데도 불구하고 티베트․미얀마 어군의 민족이 운남성과는 다르게 매우 적다는 점은 광서좡족자치구의 민족은 다른 지역의 민족과의 민족 간 이동 및 융합이 원활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산이 많아 교통이 불편한 광서좡족자치구의 자연환경이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먀오족과 야오족은 학자에 따라 오스트로아시아 어족의 몬․크메르 어군에 넣어야 한다는 견해도 있을 정도로 이들 어족에 속하는 민족과 유사성이 많은데, 오랜 세월 한․장 어족 집단과 생활하여 언어 상의 동화를 일으켜 이들과의 유사성이 훨씬 더 많아졌다고 한다. 먀오족과 야오족은 선조가 같은 민족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역사적으로 야오족이 먀오족보다 한화(漢化)된 정도가 크고 한족에 대하여 덜 반항적이었다.
Ⅱ. 광서좡족자치구의 소수민족들
1. 좡족(壯族, Zhuang)
좡족은 중국 최대 소수민족으로 2000년 인구 조사에서 1,617만 8,811명을 기록하였다. ‘좡’이라는 호칭은 그들의 조상이 스스로를 부르던 이름 중의 하나였다. 한자로는 한때 동(僮)으로 표기하였으나, 이의 중국식 발음이 ‘쫭’이었으므로 좡족의 자칭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僮은 어린아이, 하인 등 아랫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므로 1965년 주은래의 주도로 이의 한자 표기를 바꾸어 오늘날과 같은 壯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좡족은 한족, 야오족, 먀오족 등 다른 민족과 섞여 살고 있는데, 운남성, 광동성, 귀주성, 해남성, 호남성, 하북성 등에도 거주하고 있지만 그 인구의 87% 정도가 광서좡족자치구에 집중되어 있어, 2000년 조사에서 광서좡족자치구에 거주하는 좡족의 숫자는 1,420만 7,143명을 기록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좡족 인구가 많은 지역은 난닝(南宁), 리우주(柳州), 종주오(崇左), 라이빈(来宾), 바이세(百色), 헤치(河池) 지구를 꼽을 수 있다.
지역좡족 인구지역좡족 인구광서좡족자치구14,207,143운남성1,144,021광동성 570,200귀주성 52,065해남성 50,507호남성 23,559하북성 20,832절강성 18,998복건성 10,818표 2 중국 내 좡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좡족은 역사적으로 진시황 때 한족에 의해 정복되어 통치되기 시작하였으며, 많은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계속 한족의 통치를 받아 오다가 명 말기 이후 오늘날의 광서좡족자치구 등 좡족 거주 지역에 한족이 대거 유입되면서 급속히 한화되게 되었다.
좡어는 한․장 어족의 캄․타이 어군 좡․타이어 갈래에 속하는데, 광서좡족자치구 중간을 흐르는 주(珠)강을 경계로 북부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크게 구분된다. 북부방언은 부이족 언어와 매우 유사하다.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북부 방언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에 의해 좡어의 표준어로 권장되고 있다. 대다수의 좡족이 좡어 외에도 한어나 타이어를 사용할 줄 안다.
문자의 경우, ‘고장문’(古壯文)또는 ‘방괴송자’(方塊宋字)라고 불리는 당나라 때부터 쓰던 방괴문자 형식의 좡족 고유의 문자가 존재했다. 그러나 이 문자는 사용법이 복잡하여 널리 쓰이지는 않았다. 이에 1950년 대에 중국 정부가 라틴 자모를 이용하여 좡어의 북부방언을 기본으로 한 좡족 문자를 만들어 보급해 주었다고 한다.
좡족은 청색을 숭상하여 이 계통의 옷을 즐겨 입는다. 남자들은 긴바지를 입고, 여자들은 꽃무늬가 허리둘레에 새겨진 긴 바지나 치마를 즐겨 입는다. 옷에 은장식을 하는 것도 즐긴다. 도시에 사는 좡족, 젊은 층의 좡족은 한족과 같은 복장을 하는 경우가 많다.
좡족은 일찍부터 수리 관개를 이용한 벼농사를 하였고 재배 기술도 뛰어나다. 쌀을 주식으로 하고, 옥수수, 고구마 등 여러 잡곡을 부식으로 먹는다. 또한 절인 고기와 단 음식을 먹는 것도 좋아한다. 차도 즐겨서 유채로 만든 기름에 볶은 여러 가지 곡식을 녹차에 넣고 함께 끓여서 만드는 유차(油茶)를 많이 먹으며, 손님에게도 내놓는다. 명절 때에는 보라색의 등나무 덩굴로 만든 보라색 물, 국화로 만드는 노란색 물, 단풍잎으로 만드는 빨간 물 등으로 찹쌀에 여러 가지 색깔로 물을 들인 후 쪄내어 검은색, 붉은색, 노란색, 보라색, 흰색의 오색 밥을 지어 먹는다. 평상시에도 이 오색찹쌀밥을 만들어 주먹밥으로 해서 먹는다. 같은 방법으로 달걀, 오리알, 거위알 등을 물들여서 먹기도 하며, 운남성의 문산(文山)좡족먀오족자치주 등의 지역에서는 음력 3월 3일 등에 찹쌀을 ‘크람’이라는 나뭇잎으로 싸서 붉은색 물을 들이게 하여 붉은 밥을 짓는 관습이 있다. 좡족 여성이 빈랑(betel) 열매를 씹는 풍습이 광서 지방의 서남쪽을 중심으로 여전히 남아있으며 이를 손님 접대를 위해 내놓기도 한다.
전통적인 가옥은 간란누방(干欄樓房, galans)인데, 간란누방은 직사각형 형태의 목조 집으로, 지역에 따라서는 대나무로 집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평지나 비교적 습하지 않은 지역에 사는 좡족들은 한족의 영향을 받아, 한족과 같이 1층짜리 집을 짓고 사는 경우도 많다. 이때 1층짜리 집은 나무, 벽돌, 흙, 띠(茅) 등으로 만든다. 현대화와 한화의 영향으로 철근콘크리트로 만든 집이나 벽돌로 만든 기와집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예로부터 금속기술, 은세공, 목공, 방직공예 등이 뛰어났으며 특히 좡족의 여성이 목화실과 오색의 비단실로 짠 좡진(壯錦)이 유명하다. 산가(山歌)와 연극이 성행하며, 동고(銅鼓)를 연주하며 춤추는 풍습도 있다.
좡족은 15세가 되어야 성인으로 인정받아 연애 혹은 결혼을 할 수 있다. 단, 4~5대(代) 이내의 같은 성을 가진 혈족 간에는 결혼이 금지된다. 좡족의 사회는 일부일처제 사회이며 자유로운 연애의 풍습도 있었지만 혼인은 주로 부모들이 결정하였다. 또한, 결혼 후에 아내가 남편 집에 머물지 않고 결혼 다음날 부모에게 돌아와 함께 살며 명절이나 농번기에만 남편에게 찾아가는 특이한 관습이 있다. 이 경우, 좡족 아내는 결혼 후 첫 아이를 출산한 이후에만 친정을 떠나서 남편과 함께 계속 살 수 있다. 그러나 공산화 및 현대화와 함께 이 관습도 사라져가고 있으며, 대신 자유연애와 본인 의사에 의한 결혼이 늘어나고 있다.
토장이 전통적인 장례 방식이며, 사람이 죽으면 몸을 씻어주고 관에 넣을 때 손, 눈, 혀 밑 등에 돈을 놓아 저승길 노자로 쓰게 한다. 묘지에는 상징적으로 집을 지어놓고 사망자가 쓰던 도구들을 순장품으로 놓아둔다. 지역에 따라 죽은 후 몇 년 후에 유골에서 뼈를 추려내어 항아리에 담아 밀봉 보관하며 받드는 곳도 있다. 한족의 영향으로 집집마다 대청 가운데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명절 때마다 향을 올리며, 성씨를 단위로 사당을 세워 사당 안에 역대 조상들의 신주들을 모셔 조상에 대한 존경을 표시한다.
좡족의 종교는 조상숭배와 자연숭배를 기초로 하며, 대승불교와 도교도 받아들였다. 가장 숭배하는 것은 부락신과 토지신이다. 마을마다 이들을 위한 신당이 만들어져 있고 마을 어귀의 나무아래에는 돌 두 개를 놓아 부락신의 우상으로 삼고 있다. 음력섣달 그믐날에 부락신을 위한 제사를 하는데, 이날 저녁 제물로 썼던 고기와 죽을, 아이가 있는 며느리 방 앞에 놓아 아이의 건강을 기원하고, 또한 죽을 가축에게 먹여 가축의 건강을 기원한다.
용제사도 좡족들이 공통적으로 지내는 제사의식이다. 해매다 돼지를 잡아 제사를 지내 풍작과 건강을 기원한다. ‘화왕성모(花王聖母)’라는 우리의 삼신할매와 유사한 노파신은 아이들의 수호신인데, 좡족 여성들은 아기를 낳으면 산모의 침대 머리 쪽 벽에 들에서 꺾어온 꽃묶음을 걸어 놓아 신주로 삼는다. 아이는 자란 뒤 해마다 설에 잠자리에서 일어나면 이 꽃묶음에 절한다.
불교와 도교도 좡족의 고유신앙과 결합하여 관제묘, 대왕묘, 대신묘 등 이와 관련된 시설이 많이 있다. 무당은 자신들의 경전이 있는데 이것은 한문이나 좡족의 옛 문자로 쓴 것이며 좡족의 신화전설이 그 내용이다. 무당이 좡족의 민간신앙과 문화의 전승자 역할을 한다.
19세기에 기독교도 들어왔지만 도시 지역에 영향을 끼쳤을 뿐 그다지 전파되지는 못했다.
2. 야오족(瑶, Yao)
야오족은 중국 남부와 남서부의 산악 지대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이다. 2000년 인구조사에서는 263만 7,421명이 중국에 거주한다고 조사되었고, 베트남에도 47만 정도가 살고 있으며 라오스 북부와 미얀마에도 거주하고 태국 북부에도 6만 정도가 살고 있다. 중국에서는 광서 좡족 자치구, 호남성, 광동성, 운남성, 귀주성 등에 거주하며 특히 광서좡족자치구에 인구의 55.8%인 147만 2,946명(2000년 기준)이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리우주(柳州), 귀이린(桂林), 헤주(贺州), 이세(百色), 헤치(河池), 라이빈(来宾) 지구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광서좡족자치구의 동남쪽에 있는 섬인 해남도(海南島)에도 6만 1천 정도의 야오족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자신들을 먀오족이라고 보고 중국정부도 이들을 먀오족으로 분류하고 있다.
지역야오족 인구지역야오족 인구광서좡족자치구 1,471,946호남성 704,564광동성 202,667운남성 190,610귀주성 44,392표 3 중국 내 야오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진한(秦漢) 시대의 야오족은 지금의 호남성 일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한족의 세력에 밀려 차츰 남쪽으로 내려오게 되었고, 광서 지역으로 오게 된 것은 수당 시대에 전쟁과 과도한 세금 및 부역을 피하여 호남성 일대로부터 이주하게 되면서부터였다. 원명 시대에 더욱 대규모로 광서 및 광동 지역으로 이주하였고, 일부는 지금의 귀주성 및 운남성 지역에도 터를 잡고 살게 되었다.
야오족이 쓰는 언어로는 면어(勉語), 포노어(布努語), 랍가어(拉珈語)의 모두 세 가지가 있다. 이들은 모두 한․장 어족 먀오․야오 어군에 속하는데, ‘면어’는 야오어 갈래에 속하고, 상호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4가지 방언이 있다. ‘포노어’는 먀오어 갈래에 속하며 방언 간 소통이 매우 어려운 3가지 방언이 있다. 랍가어는 방언 구분이 없으며 동수(侗水)어 갈래에 속한다. 야오족은 이렇게 언어가 복잡하여 야오족 간의 의사소통에도 지장이 있을 정도지만, 한어와 좡어 등 다른 언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많다.
1984년에 중국정부가 라틴 알파벳을 기초로 이들을 위한 문자를 만들어 주었으며 그 이전에는 독자적인 문자가 없었고 다만 나무에 금을 새겨 일을 기록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독자적인 문자가 만들어진 후에도 언어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문자가 널리 통용되지 못하고 대신 한자가 많이 통용되고 있다.
야오족의 복장은 지역에 따라 다른데, 남자의 상의는 허리띠를 매며 남색, 흑색 옷을 주로 입는다. 부녀는 목깃이 없는 옷을 입고 허리띠를 두르며 주름치마, 긴 바지, 또는 짧은 바지를 즐겨 입고 짧은 바지도 입는다. 은 장신구와 목걸이는 남녀 모두 즐겨 착용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의 야오족은 화전농업과 수렵을 생업으로 삼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새로운 경지나 수렵장을 찾아 이동하는 생활을 해왔는데, 현재는 정주하며 밭이나 산비탈을 일구어 농업을 하고 있다. 정주하는 과정에 향 인민 정부가 이들의 정주를 돕기 위해 농업 기술이 우수한 동족(僮族)이나 부이족 등 다른 민족을 투입하여 이들의 농업이나 촌락 운영을 지도하도록 했기 때문에 야오족 촌락 내에 다른 민족이 섞여 있는 경우도 많다.
야오족은 주로 논벼․옥수수․고구마 등을 재배하고, 콩․호박․고추 등의 채소도 많이 재배한다. 식용유를 얻을 수 있는 유동(油桐)나무와 염료의 원료인 쪽을 재배하는 경우도 많다. 주식은 쌀이며 일부 지방에서는 옥수수를 주식으로 하기도 한다. 고구마, 콩 등은 부식으로 활용된다. 손님이 왔을 때는 차 잎을 기름으로 볶아 쌀․콩․땅콩을 넣어 만든 유오차(油茶)를 내놓는 관습이 있으며 특히 광서 북부의 요족이 유오차를 즐긴다. 광서 서부 일대의 야오족은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를 연기에 말려 먹는 것을 즐긴다. 야오족은 식사에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으며 거북이․뱀․개고기․뱀장어를 절대 먹지 않는다. 특히 개는 야오족 시조신화에서 조상으로 나오기 때문에 개고기를 먹는 것은 매우 금기시된다.
야오족의 주택은 직사각형 모양이고 나무와 대나무로 짓는다. 집을 지을 때는 길일을 선택하여 산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짓는다. 보통 세 개의 방으로 이루어지는데, 각 방마다 구석에 조그만 화구가 있어 요리를 할 수 있다. 지역에 따라 1층 집이 주인 곳도 있고, 2, 3층짜리 집을 지을 때도 있다. 2층 집은 언덕 경사에 많이 지으며, 2층은 생활공간, 1층은 외양간, 헛간으로 쓴다. 3층으로 만들 경우는 1층은 축사, 2층은 사람의 생활공간, 3층은 창고로 활용한다.
마을의 중요한 일은 마을 장로회인 ‘야오라오(瑶老)’가 결정하는데, 이들은 최고 책임자인 ‘톈장궁(天長公)’과 그 보좌인 ‘터우무궁(頭目公)’, 군사지도자인 ‘관스터우(管事頭)’ 등으로 역할을 분담하는 경우도 있다. 광서장족자치구 진시우(金秀) 요족 자치현 내 대요(大瑤)산 일대의 야오족은 마을의 규정을 돌비석에 세워서 분쟁을 해결하는 기준으로 삼는 관습이 있었다.
여자는 15~16세가 되면 머리에 빨간 수건을 돌려 매어 자신이 성인이 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고 남자는 17세가 되면 동네의 가장 연세 많은 어른의 교훈이 담긴 노래를 듣는 것으로 성인식을 치른다. 젊은이들이 연애는 자유로운 편이지만 결혼에는 양가 부모의 허락을 모두 받아야만 한다. 남녀가 서로 결혼을 약속할 때는 서로의 손등을 피가 나도록 입으로 물어 약혼의 증거물로 삼는다. 결혼할 때 남자는 많은 지참금을 준비해야 하며, 이를 하지 못할 경우 여자의 집에서 몇 년간 일해 주는 것으로 지참금을 대신한다.
야오족의 옛 전통에서는 외삼촌이 가정의 중요한 일에 큰 발언권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결혼에 있어 외삼촌의 발언권이 매우 커서 그 가정의 딸이 외삼촌의 아들과 결혼하거나, 그럴 수 없다면 거액의 배상금을 외삼촌에게 지불해야만 하는 지역도 있다. 이는 한 집안의 딸을 다른 집안에 주면 다른 집안이 다시 딸을 줘서 갚아야 한다는 사고에서 기인한 것으로 모계 사회의 잔재라는 시각도 있다.
기본적으로 일부일처제 사회이지만 결혼 후 여자가 아이를 낳지 못하면 첩을 두는 경우는 있었다. 지역에 따라 데릴사위제, 결혼 후 신랑이 일정기간 신부 집에 머무는 풍습, 신부를 훔쳐 와서 결혼하는 풍습 등은 일부 지방의 야오족 풍습이다.
장례는 토장을 전통으로 하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 지역에 따라 화장, 시체를 묻고 나서 몇 년 후 뼈를 꺼내 항아리에 넣고 땅에 묻는 검골장(撿骨葬), 시체를 천연동굴에 입관하는 애장(涯葬) 등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교는 애니미즘과 조상 숭배를 하며, 도교를 믿는 사람도 많으며 불교나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도 있다. 제례나 의례는 도교의 영향을 받은 점이 공통점이다. 영혼불멸을 믿어 죽은 후에 사람의 영혼이 귀신이 되거나 신으로 변한다고 여긴다. 불교를 믿지 않더라도 윤회와 비슷한 관념이 있고 바람, 구름, 비, 우레를 관할하는 신들을 위한 신당을 세우고 정기적으로 제사를 지낸다. 야오족들이 믿는 신은 매우 많아서, 적으면 100가지에서 많으면 500가지에 달하는데, 그 중에는 야오족의 민족신 외에 한족의 신인 신농씨 등도 있다. 신당에 모신 신은 하나에서 10가지 정도이고, 신상은 많으면 수십 개씩이나 있으며 돌이나 나무로 만든다. 이외에도 기암괴석, 큰 나무도 신앙의 대상이다.
미신도 많아 큰 돌이 밭으로 굴러 떨어지거나 암탉이 울거나 껍질 없는 달걀을 낳는 것, 뱀이 집에 들어오거나 쥐가 사람을 무는 것을 매우 불길하게 여긴다. 이런 일들이 있거나 병에 걸린 사람이 있으면 무당을 불러 제사를 지내게 한다. 야오족 무당은 사회적 지위가 높아 세속생활에서도 지도자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무당은 종교경전을 가지고 있는데, 경전은 한문으로 쓰여 있다. 야오족들이 오래전부터 한문을 써왔기 때문이다.
야오족은 조상을 잘 모시지 않으면 조상이 그 후손을 보호해 주지 않아 나쁜 일이 생긴다고 생각한다. 성묘를 가는 것은 야오족의 보편적인 조상숭배 활동이다. 이 외에도 7월에는 조상신을 위해 가정마다 제사를 지낸다. 이때 지전을 태워 조상에게 쓸 돈을 바치고 좋은 옷을 태워 입을 것을 보내줌으로써 존경을 표시한다. 매일 식사 전에도 조상의 이름을 부르고 조상신에게 먼저 음식을 권한 뒤 먹음으로써 조상에게 존경을 표시한다.
3. 먀오족(苗, Maio)
먀오(苗)라는 호칭은 고대 갑골문자에서도 발견되는 오래된 호칭으로, 먀오족 서부 방언 지역에서의 민족 자칭을 한어(漢語)로 음역한 것이다. 원래 뜻은 ‘사람’이라고 한다.
2000년 조사에서 그 인구가 894만 116명으로 집계되었다. 먀오족은 호남성, 운남성, 사천성 등 중국 남부에 주로 거주하며, 특히 귀주성에 인구의 50%인 430만 명이 거주한다. 또한 많은 먀오족들이 중국 국경을 건너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타이 등에 살고 있다. 광서좡족자치구에서는 2000년 기준 46만 2956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롱수이(融水) 먀오족 자치현, 롱린(隆林) 각 민족 자치현, 산장(三江) 동족 자치현, 지위안(资源)현, 시린(西林)현, 롱성(龙胜) 각 민족 자치현、난단(南丹)현 등에 많이 살고 있다.
지역먀오족 인구지역먀오족 인구귀주성4,299,954호남성1,921,495운남성1,043,535중경시 502,421광서좡족자치구 462,956호북성 214,266사천성 147,526광동성 120,606해남성 61,264절강성 53,418강소성 22,246복건성 22,065표 3 중국 내 먀오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먀오족의 언어는 한장(漢藏)어족의 먀오․야오 어군의 먀오어 갈래 속한다. 먀오어는 호남서부방언인 상서(湘西) 방언, 귀주동부방언인 검동(黔東) 방언, 사천․귀주․운남 방언인 천검전(川黔滇) 방언 등 3개의 방언으로 나누어지며, 다른 방언구역에 속한다면 서로 이야기를 나눌 수 없다. 한편 다른 민족과 섞여 사는 경우가 많아 다른 민족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도 많다.
고유한 민족문자는 없는데, 1904년 귀주에서 활동하던 영국 선교사가 표음문자 형태의 먀오 문자를 만들어 성경 번역본을 출판하기도 하였고, 1956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주도로 먀오족의 3대 방언마다 각각 먀오 문자를 만들어 이를 보급해 주었다.
먀오족의 전통복장은 종류가 매우 많이 그 양식이 1백여 종에 달한다. 먀오족의 전통복장은 매우 화려하여 중국 소수민족 중 복장이 가장 화려한 민족으로 손꼽힌다. 지역에 따라 복장의 색깔, 무늬, 꽃을 수놓는 위치가 달라, 그 모습에 따라 하부 민족들을 흑묘(黑苗), 홍묘(紅苗), 백묘(白苗), 화묘(花苗), 청묘(靑苗)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남자들은 짧은 상의와 긴 바지를 즐겨 입으며, 여자들은 치마나 바지를 입으며 은장식을 좋아한다. 특히 명절 때 많은 은장식품을 걸친다.
먀오족은 주로 농업을 하며 산지에 사는 먀오족은 이전에는 산비탈에 화전 농업을 주로 했지만 현재는 산비탈을 개간하거나 평지에다 하는 벼농사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평지에 사는 먀오족은 평지에 논을 이용해 잉어 등을 양식하기도 하며, 산비탈에서는 옥수수․밭벼 등을 주로 수확한다.
남부지방의 먀오족은 쌀을 주식으로 하고 옥수수․밀․콩을 부식으로 하며, 산지에 사는 먀오족은 옥수수, 메밀, 감자, 귀리, 잡곡 농사를 하며 이를 주식으로 활용한다. 광서좡족자치구의 경우는 벼농사를 많이 하여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으며, 옥수수와 밀, 콩을 부식으로 하여 생활하고 있다. 먀오족은 신맛이 나는 음식을 좋아하며 생선, 채소, 콩 등을 넣고 끓은 국, 발효시킨 야채, 절인 야채, 소금에 절인 고추 등을 즐겨 먹는다. 술도 매우 좋아하여 집집마다 술이 준비되어 있으며 손님이 오면 이를 대접한다. 술을 권할 때는 노래를 부르면서 술을 권한다.
집은 나무로 만들며 2층이나 3층집이 보통이다. 주거 형태 역시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난다. 귀주성 검동남(黔東南) 지역과 호남성 서부 지역에서는 산비탈에 다리를 세운 가옥이라는 뜻인 ‘댜오자오러우(弔脚樓)’라는 가옥을 짓는다. 이 집의 구조는 아래쪽에 긴 기둥으로 받치고 위쪽은 짧은 기둥으로 받쳐 집의 바닥을 수평상태로 만들어 집을 지어, 밑쪽의 남는 공간이 1층이 되는 2층집의 구조가 되게 만드는 것이다. '댜오자오러우’는 먀오족 뿐 아니라 부이족 등 다른 민족에게서도 발견되는 주거 형태이다. 운남성의 문산(文山) 지역의 먀오족은 대나무를 엮어 벽을 쌓고 흙을 칠하여 집을 만들며, 운남성 소통(昭通) 지역의 먀오족은 여러 개의 나무를 엇갈리게 하고 그 위에 흙을 칠한 후에 띠로 지붕을 덮어 집을 만든다.
먀오족 사회는 하나의 촌락이나 촌락 두셋을 묶어 소관(小款), 수십 호나 수백 호를 묶어 대관(大款)이라고 하여 각각 통합된 사회를 형성하여 향규(鄕規)라고 불리는 자치규약을 가지고 있었다. 먀오족의 우두머리는 치안, 전쟁, 제례 등을 통솔하였는데, 향규에 따라 권력을 행사하였다.
일부일처제인데다가 결혼한 아들은 분가해서 나가므로 먀오족의 가족은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이고, 나이든 부모는 막내아들에 의해 부양되는 것이 보통이다. 연애의 자유가 있어 서로 노래를 부르는 대가(對歌)의 형식으로 서로에게 애정을 표현한다. 귀주성 검동남(黔東南)과 운남성 동북부에도 젊은 남녀가 연애를 즐길 수 있는 장소를 따로 만들어 주기도 한다. 그러나 결혼은 반드시 부모의 동의를 받아야 할 수 있는 것이 전통적인 문화이다. 심지어는 부모들이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약혼을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여자를 납치해와 결혼할 것을 요구하여 여자의 동의를 얻으면 축하연을 성대하게 개최하고, 여자가 거절하면 놓아주는 우리의 보쌈과 비슷한 풍습도 있다. 이 경우 보통은 서로 짜고 잡아오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먀오족의 장례식은 나무로 만든 관에 시체를 넣고 매장하는 토장이 일반적이며 공동묘지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일부 지방의 먀오족은 시체를 동서로 가로뉘어 매장하는 풍습이 있다.
먀오족의 종교는 자연숭배, 귀신숭배, 조상숭배가 주가 되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 한족의 종교를 믿는 자도, 기독교를 믿는 자들도 있다. 혼의 존재를 믿어 병에 걸리는 것은 혼이 귀신에게 잡혀갔기 때문이라고 여기고, 영혼불멸을 믿어 사람이 죽으면 혼이 하늘에 올라간다고 믿는다. 사람 뿐 아니라 세상만물에도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해 큰 바위, 큰 나무, 동굴 등을 신으로 숭배한다. 특히 단풍나무를 귀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단풍나무 뿐 아니라 그 주위의 나무까지 함부로 베지 못하고 단풍나무를 벤 사람은 결혼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에게 있어 무당은 자기민족의 역사와 신화, 구전 가요를 섭렵한 지식인과 가수를 겸한다. 종교행사를 주최하고 병 치료, 복 빌기 등을 하며 어떤 무당은 한약으로 병 치료를 할 줄도 안다. 무당은 먀오족 사회에서 특권계층은 아니지만 이런 이유로 사회적 위망이 높다. 조상숭배는 어느 지역에 사는 먀오족이든 공통적인 것이다. 그들은 평상시 식사 때도 먼저 조상에게 올리는데, 특히 술과 고기를 먹을 때는 꼭 밥, 고기, 술 등을 땅에 조금씩 흘려놓아 조상이 먼저 맛보게 한다. 조상의 신주는 부뚜막 끝에 모시는데 간혹 한족의 영향으로 집 가운데 신주를 모시는 집도 있다.
손님이 오면 남자가 대문까지 가서 손님을 맞고 여자들은 먀오족 노래를 부르면서 들어오는 손님을 접대한다. 손님을 위해 닭․오리․거위 등을 잡아서 대접하는데, 제일 맛있다고 여기는 내장 부위는 모두 손님에게 내어 준다. 손님에게 있어서는, 묘족 집에서 화로를 가로타서 지나거나 발로 차면 집주인을 모욕하는 행위이며 집안에서 휘파람을 부는 것도 실례이다.
결혼식에서 과부는 신방으로의 접근이 금지되며, 귀주성 동남부의 먀오족은 부모가 죽으면 한 달 동안 다리를 건너지 않고 3년 동안 개고기, 미꾸라지, 고사리 등을 먹지 않는다.
4. 동족(侗, Dong)
동족의 자칭은 ‘캄’이고, ‘동’이라는 명칭은 한족이 부르던 호칭이다. 청나라 때는 동묘(洞苗), 동민(洞民), 동가(洞家) 등으로 불렸는데,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이후인 1954년에 소수민족으로 포함되면서 ‘동족’(侗族)으로 민족 명칭이 정해졌다.
중국에서는 2000년 기준으로 296만 293명의 인구를 보인다. 주로 귀주성의 동남부, 호남성의 서남부, 광서 좡족 자치구의 북부에 거주하고 있다. 광서에서는 30만 3,139명이 살고 있으며, 삼강(三江)、융수(融水)、룡성(龙胜) 세 개 현에 많이 살고 있다.
지역동족 인구지역동족 인구귀주성1,628,568호남성842,123광서좡족자치구 303,139호북성 69,947광동성 55,870절강성 17,906표 4 중국 내 동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진(秦)나라 이후 중국 왕조의 직접 통치를 계속해서 받아온 동족은 한․장 어족 캄․타이 어군의 동수(侗水)어 갈래에 속하며 북부방언과 남부방언의 두 가지 방언이 있다. 귀주성 용강(榕江) 지역의 말이 기준이 되는 말로 여겨지고 있는데, 광서의 동족은 남부방언 집단에 속한다. 동족어는 15개의 성조가 있어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언어 중 하나로 꼽힌다. 중국인들도 이 언어를 배우려면 30년은 걸린다고 하고 있다. 동족 중에 한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 많으며 문자도 한자를 통용하여 오다가 1959년 중국 정부가 라틴 알파벳을 기초로 한 문자를 만들어 주었다.
동족의 거주 지역은 온화하며 강수량이 풍부하여 곡물농업, 과수농업, 목축 등을 많이 하고 있으며, 가장 중심이 되는 산업은 농업이다. 찹쌀, 좁쌀, 옥수수, 수박, 오렌지 등을 많이 생산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일 년 내내 논에 물을 가두어 잉어 등을 기르는 곳도 있다. 또한 거주 지역에 경제성이 높은 삼림이 풍부하고 금, 은, 수은, 석탄, 구리, 철 등 지하자원이 많이 난다.
여자들은 옷깃이 없는 상의와 주름이 많은 치마 또는 긴 바지를 입으며, 은으로 된 장신구를 몸에 걸치는 것을 좋아한다. 남자는 옷깃이 없는 상의와 큰 통바지를 입으며 머리에 두건을 쓰는 경우가 많다. 한족과 교류가 많아지면서 동족의 의복은 변화를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주식은 쌀이며 좁쌀, 옥수수, 찹쌀 등도 부식으로 한다. 맵고 신 음식을 좋아하며, 소금에 절인 고기나 생선을 청채(靑菜), 매운 고추 등과 함께 단지 또는 나무통에 넣어서 묵혔다가 먹는 것을 좋아한다. 잉어를 사용한 초밥의 일종인 ‘옌위(腌魚)’라는 음식도 많이 먹는다. 유차(油茶)와 찹쌀술도 좋아한다. 거주지는 주로 산악지대로, 집은 대나무로 만든 2층집이다. 1층은 창고 및 가축의 축사로 사용하고 사람은 2층에 산다. 평지에 거주하는 동족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사람이 1층에 살고 2층은 창고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동족은 건축기술로 유명한 민족으로 특히 다리를 잘 놓는 것으로 유명하다. 돌다리, 나무다리, 석판다리, 참대다리 등 종류가 다양한데 가장 유명한 것이 긴 복도 모양으로 건축하여 마을 입구에 세우는 ‘풍우교’(風雨橋)이다. 또한 동족이 씨족마다 가지고 있는 마을회관 격인 고루(鼓樓)는 매우 정교하여 철제 못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틈새가 없다. 목기를 다루는 기술이 발달하여 목기 제작용 녹로를 사용하는 목기점과 이를 이용하지 않는 목기 장인의 촌락이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수십에서 수백 가구가 집촌을 이루는데 씨족끼리 보여 사는 성향이 있어, 전형적인 동족 마을은 성씨가 하나 또는 두 개뿐인 경우가 많다. 우리의 향약과 유사한 ‘관’(款)이라고 물리는 맹약(盟約)의 관습이 있어 분쟁 해결의 척도 역할을 하고 있다.
가족제도는 일부일처제이며 같은 씨족 사람끼리는 결혼할 수 없지만, 외사촌 간 결혼은 많으며, 결혼과 연애가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밤에 노래를 부르면서 같이 달을 보거나 산과 마을 주변을 함께 거니는 것이 일반적인 연애방식이다. 결혼 연령은 신부가 16~18살 정도이고 신랑은 아무리 늦어도 23살에는 결혼을 한다. 많이 사라진 풍습이기는 하지만, 결혼한 여성이 첫 아이를 출산할 때까지는 처가에 그대로 머무는 풍습이 있다. 아이가 태어나면 전나무 한 그루를 심는데, 아이가 자라 결혼을 할 때쯤이 되면 이 나무를 베어 신혼부부의 새 집을 짓는데 사용한다.
장례는 나무로 만든 관에 넣어 묻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불길하게 죽은 사람, 폐병으로 죽은 사람, 난산으로 죽은 사람, 급사한 사람 등 좋지 않게 죽은 사람의 경우는 반드시 화장을 하여 후손에게 화가 미치는 것을 막는다. 가문마다 대개 자신들의 조상묘지가 있으며, 장례를 치를 때는 반드시 무당을 불러 길일을 정한 후 행동한다.
동족의 종교는 자연숭배, 조상숭배, 귀신숭배가 많으며, 여신인 ‘싸’(薩)를 민족의 공동시조이자 제일 신으로 숭배한다. 동족은 이 신이 여러 신들을 관할하면서 곡식을 보호해준다고 여기며 마을마다 사당 또는 신당을 만들어서 받들며, 제삿날인 음력 2월 7일 도는 8일 이외에는 누구도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다. 집집마다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토지신을 숭배하여 마을 어귀와 다리 어귀에 신단을 설치하여 모신다. 지역에 따라 신단에 신주를 모시는 곳도 있고 사람모양으로 생긴 돌을 모셔놓는 곳도 있다. 불교, 도교, 천주교, 기독교도 들어왔으나 세력이 크지는 못하다.
병자가 생기면 무당을 청하여 귀신을 쫓는데 반드시 사흘 동안 문에 짚이나 풀을 매듭지어 표시를 해 두어 외인 출입을 거절한다. 만약 외인이 들어온다면 제사를 다시 해야 하고 그 외인은 사흘 동안의 제사 비용을 배상해야만 한다. 마을 자체에 병자가 많이 생기면 마을 입구를 막고 무당이 제사를 지내게 하는데 마을 양쪽 어구에 십자형으로 만드는 쑥 매듭으로 외인 출입 금지의 표식을 만든다. 봄에 농사를 시작할 때도 반드시 길일을 택하여 밭에 나간다.
5. 무라오족(仫佬, Mulao)
‘무라오’라는 명칭은 한족이 부르는 명칭으로, 자칭은 ‘링’(伶) 또는 ‘진’(謹)이라고 하며 좡족은 무라오족을 ‘후친’이라고 부른다. 인구는 2000년 기준으로 20만 7,352명이다. 광서에 인구의 82%인 17만 225명이 살고 있고, 귀주성에 28,435명, 광동성에 4,814명이 거주하고 있다. 광서에서도 특히 광서 좡족 자치구 뤄청(羅城) 무라오족 자치현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이외 이산(宜山), 류청(柳城), 신청(忻城), 뚜안(都安) 야오족 자치현, 환장(環江) 등에도 분산하여 살고 있다.
지역무라오족 인구지역무라오족 인구 광서좡족자치구170,225귀주성 28,435광동성 4,814표 4 중국 내 무라오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청나라 때 수십 호로 구성되는 동(冬)을 단위로 하는 행정조직이 만들어져, 동마다 동두(冬頭)라는 책임자가 임명되어 세금의 징수를 담당하였으며, 동 밑에 몇 개의 방(房)을 두어 각 가문의 장이 방을 담당하였다. 이 제도는 현재도 계승되어 향로가 동두의 역할을 하고 있고 족장이 방장의 역할을 하고 있어, 향로와 족장을 중심으로 향약 또는 족규(族規)라는 관습법이 운영되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언어는 한․장 어족 캄․타이 어군의 동수(侗水)어 갈래에 속하며 광서좡족자치구의 무라오족과 귀주성의 무라오족 언어 사이에는 차이가 크다. 무라오족은 인구가 적은데다 다른 민족들과 함께 거주한 역사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무라오어보다는 한어와 좡어를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민족문자도 없으며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생업은 농업이 주지만 무라오족의 주요 거주 지역은 토지 조건이 열악한 편이다. 주요 작물은 옥수수, 논벼, 각종 구근 작물과 콩류 등이며, 담배, 땅콩, 들깨, 유채, 면화, 차 등도 많이 재배하고 있다. 무라오족의 거주 지역에서 채취되는 표고버섯 및 벌꿀 등은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무라오족은 청색을 즐겨 입으며 여성들은 긴바지를 주로 입는다. 또한 은으로 만든 장신구를 몸에 걸치는 것을 좋아한다.
주식은 쌀과 옥수수이며, 고구마, 콩, 밀, 보리를 부식으로 한다. 시고 매운맛을 좋아하며 고양이와 뱀 고기는 먹지 않는다.
주거 형태는 지역에 따라 다른데, 광서 지역은 진흙으로 벽을 만든 다음 기와를 올려서 집을 만들고, 귀주 지역은 나무로 벽을 만들고 기와를 올린다. 현재는 대부분 벽돌과 기와로 만든 집에서 생활한다. 가축의 축사는 사람이 거주하는 집과 분리되어 있다.
결혼은 이른 나이에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부모가 주도적으로 결혼을 결정한다. 약혼 또는 결혼 후 이를 파기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결혼 후에는 신랑이 일시적으로 신부 집에서 사는 ‘불락부가’(不落夫家)라는 관습이 남아 있다. 여자는 남편이 죽은 후 재가를 할 때 친정집의 의견을 따를 필요가 없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지만, 재산 계승권은 없고 남자만이 재산을 계승할 권리가 있다.
장례는 토장이 전통적인 방법이며, 무당을 청하여 죽은 자를 위하여 제사를 지내며, 묘 자리를 위해 풍수를 살펴본다. 주위에서 물을 사서 시체에 뿌리는 풍습도 있다.
종교는 원시신앙, 불교, 도교가 중심이 된다. 도교가 일상생활에서 영향력이 커서, 사람이 병들거나 나쁜 일이 생기면 도사들을 청하여 귀신을 쫓는다. 무당을 무라오 말로 ‘모보(MoBo)라고 부르며, 귀신과 인간 사이를 소통하는 일을 맡는다. 무라오족의 무당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데다 대대로 이를 세습할 수 있다. 단, 여무당은 세습할 수 없으며 굿을 할 수도 없다. 집에는 조상신, 조왕신, 토지신을 모시는데, 주로 대청 가운데 있는 신루에 모신다. 조상신이 가운데 위치하고 조왕신은 오른쪽, 토지신은 왼쪽에 모셔서 매달 초하루와 보름날에 향불을 피워 올린다. 그 외 여러 신들을 신당에 모셔서 해마다 제사를 지낸다. 제사를 드리는 신의 종류가 많고 들이는 비용이 매우 많다. 가장 성대한 제사는 해마다 2월과 8월에 마을신에게 드리는 제사로, 각각 농사가 잘 될 것에 대한 기원과 농사가 잘 되게 해준 것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제사 지낸다.
6. 마오난족(毛南, Maonan)
마오난족의 인구는 10만 7,166명(2000년)이며, ‘마오난’은 한족이 부르던 호칭이다. 당초에는 ‘마오난’(毛難)이라고 쓰다가 1986년부터 ‘마오난’(毛南)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자칭은 ‘아이난’(阿南)인데, 이는 ‘이 지역의 사람’이라는 뜻이다. 중국에서의 거주 지역은 크게 두 지역으로, 광서 좡족 자치구와 귀주성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이중 광서 좡족 자치구 환장(環江)현의 상난(上南), 중난(中南), 하난(下南)의 삼남(三南) 지구에 마오난족의 70%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 외에 광서에서 마오난족이 거주하는 지역은 난단(南丹), 허디(河地), 이산(宜山), 두안(都安) 등이다. 귀주성 핑탕(平塘) 현에 거주하는 집단은 자칭을 ‘아이․라우’ 또는 ‘본․라오’라고 하며, 역사적으로 한족에게 ‘얀환’(佯僙)족이라고 불리는, 독립적인 민족이었다. 이들의 언어도 ‘얀환어’라고 불리며 ‘마오난어’와는 유사하기는 하지만 별개의 언어였다. 그러나 이들 얀환족은 역사적으로 민족집단으로 식별이 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가 1990년 마오난족의 일부로 편입되어 식별되기 시작하였다.
지역마오난족 인구지역마오난족 인구 광서좡족자치구73,578귀주성 31,240광동성 1,263표 5 중국 내 마오난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마오난어와 얀환어 모두 한․장 어족 캄․타이 어군의 동수(侗水)어 갈래에 속하며, 현재는 일상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며 많은 사람들이 한어나 좡어를 사용한다. 문자는 한자를 통용하여 왔는데, 한자의 음과 뜻을 빌어서 간략하게 만든 ‘토속자’(土俗字)라는 문자로 마오난족의 역사와 민요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가장 중심이 되는 산업은 농업인데, 마오난족의 주 거주 지역인 삼남 지구는 경작지가 적고 물도 부족하여 경작에 불리한 환경이다. 그러나 마오난족은 계단식 경작지를 만들어 논벼, 옥수수, 메밀, 콩, 고구마, 면화, 황마, 유채 등을 재배하며 소득을 올리고 있다. 또한 물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의 사육을 하고 있다.
남녀 모두 남색 혹은 청색을 기본으로 하는 의복을 즐겨 입으며, 좡족과 전통 복식이 유사하다. 여성의 옷은 옷깃의 위에 세 줄기의 검은색 테두리를 두르며 무릎에는 선을 두르는 것이 특징이다. 남성은 통이 넓은 바지를 입는다.
주식은 쌀과 옥수수이고 수수, 좁쌀, 고구마, 호박을 부식으로 먹는다. 고구마와 맑은 물로 삶은 죽순에다가 옥수수 가루, 콩, 생강, 오이, 고추. 기름, 소금 등을 넣고 찐 ‘모남반’(毛南飯)을 즐겨 먹으며, 야채를 발효시켜 만드는 산채(酸菜),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에 소금을 넣어 발효시킨 산육(酸肉), 우렁이를 위주로 돼지뼈, 찹쌀 등을 넣고 발효시킨 산라사(酸螺鰤) 등을 반찬으로 먹는다.
전통적인 가옥은 돌로 지반을 만들고 진흙으로 벽을 만들고 기와로 지붕을 올리며, 보통 3층으로 짓는다. 맨 위층은 사람이 살거나 창고로 쓰고, 중간층은 침실, 객실, 부엌 등 생활공간, 아래층은 가축의 축사 및 창고로 쓴다. 옷이나 곡물 등을 말리는 건축물을 따로 짓기도 한다.
마오난족은 사촌 간 결혼이 성행했으며 비록 결혼은 부모가 결정하였지만 연애는 자유로운 편이었다. 또한 결혼 이후에 신부가 신랑 집에 가지 않고 어느 정도 친정집에 머무는 풍습이 있었는데,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이러한 혼인 풍속들은 사라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장례는 나무로 만든 관을 이용한 토장을 주로하며, 씨족들의 공동묘지를 가지고 있다. 죽은 이를 위해 옷과 돈을 태워서 보내주는 의식을 하기도 한다.
가장 중심이 되는 종교는 조상숭배와 다신숭배로, 조상신, 조왕신, 토지신, 문신 등 10여 가지 신을 모신다. 마오난족은 한족의 영향을 받아 불교와 도교도 일상생활에 파고들어 왔는데, 불교 및 도교의 도사가 마오난족의 무당과 함께 신직자의 역할을 맡고 있다. 이들은 한문으로 쓰인 경전도 가지고 있다.
신단과 부엌은 마오난족에게 있어 신성한 곳으로 신단에 오동열매 기름이나 개고기 등을 놓는 행위, 부엌에 침을 뱉거나 함부로 발로 밟는 행위, 신부가 신랑 집에 들어올 때 신단을 올려다보는 행위 등을 금기시하고 있다.
7. 회족(回, Hui)
회족은 회회족(回回族)의 줄임말이다. 회족은 13세기 이후 중국 영내로 이주해 온 투르크․이란․아랍 등 이슬람교를 믿는 외래 민족의 후손으로 한족․몽골족․위구르 족 등과 오랫동안 함께 살며 융합하여 형성된 민족이다. 오늘날도 이슬람교는 회족의 공통 종교로 자리 잡고 있다.
중국 내 회족 인구는 2000년 인구조사에서 981만 6,805명을 기록하였다. 회족은 크게 서북쪽에 사는 서북회민, 동쪽에 사는 내지 회민으로 나눌 수 있다. 내지 회민 쪽이 한화(漢化)된 정도가 크다. 광서좡족 자치구의 회족은 3만 2,512(2000년 기준)이며, 난닝(南宁), 리우주(柳州), 귀이린(桂林) 3개 지구에 살고 있으며, 특히 귀이린 지구의 림창(灵川)현, 린귀이(临桂)현, 용푸(永福)현, 리우주 지구의 류자이(鹿寨)현에 많이 거주한다. 그러나 이 지역의 회족이 그다지 많지 않은데다 분포지역이 넓기 때문에, 자치현은 형성되지 않았으며, 자치향으로도 귀이린(桂林) 지구의 귀이린(桂林) 시에 있는 초평 회족향(草坪回族乡)이 광서좡족자치구에서 유일한 회족의 자치향이다.
지역회족 인구지역회족 인구영하회족자치구1,862,474감숙성1,184,930하남성 953,531신강위구르자치구839,837청해성753,378운남성 643,238하북성542,639산동성497,597안휘성337,571요녕성264,407북경시235,837내몽고자치구209,850천진시172,357귀주성168,734섬서성139,232강소성132,582길림성125,620흑룡강성124,003사천성109,960복건성109,880호남성97,368호북성77,759산서성61,690상해시57,514광서좡족자치구32,512표 6 중국 내 회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회족이 중국에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중국이 이슬람문명권과 접촉을 시작한 당나라 시대부터이며, 이슬람권 사람들인 색목인(色目人)을 우대한 원나라가 지금의 광서 지역을 정복하면서 원나라의 비호 아래 회족이 관원 및 병사로서 이 지역에 많이 이주하게 되었다.
회족은 민족 언어와 민족 문자가 없어서 한족과 마찬가지로 한어와 한자를 통용하고 있다. 다만 종교 용어 등으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의 어휘가 약간 섞여 있을 뿐이다. 용모도 한족과 거의 구별할 수 없다. 수니파 이슬람교를 일관되게 믿는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인데 이 때문에 돼지고기를 즐기는 한족과 마찰이 있기도 하다. 이슬람 사원인 ‘청진사(淸眞寺)’가 이들의 거주 중심지에 있으며, 청진사는 종교적 역할 외에도 회족에게 있어 서로 모여 의논을 하는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슬람교는 우상숭배를 금지하므로 청진사에 도교나 불교처럼 신의 우상을 만들어두지 않으며, 다만 몸을 정결히 하기 위한 목욕실을 두고 있다.
회족의 복식은 한족과 거의 같지만, 서북회민의 경우에는 백색이나 흑색의 테 없는 모자를 쓰는 남성이 많으며 여자는 얼굴부분만 노출하는 히잡을 착용한다.
쌀과 면을 주식으로 먹고, 차를 보편적으로 즐긴다. ‘청진(淸眞)’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식당은 회족들의 식당으로 이 식당에서는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돼지․닭․오리․말․당나귀 등의 고기나 술을 팔 않으며 소고기와 양고기 또는 낙타 고기를 위주로 요리를 내놓는다. 또한 회족은 쌀과 면을 즐겨 먹어, 밀가루를 끓는 물로 반죽하고 소금에 친후 참기름에 튀겨 먹는 작유향(炸油香) 등을 즐겨 먹고 차도 좋아한다.
집에도 대문 위에 가로로 나무를 대어 아랍어로 쓴 기도문을 붙이고 산다. 집안에는 코란 경문을 걸어두고 코란 경전을 배치한다.
공산화 이전에는 일부다처제였지만 이후는 중국의 결혼법을 준수하여 일부일처제가 대부분이다. 결혼은 보통 겨울에 많이 하는데, 특히 이슬람교의 예배일인 금요일에 하는 것을 좋아한다. 서북 회민의 경우에는 하객들이 신랑 측 부모를 놀리는 것이 결혼에 축복을 하는 것으로 여긴다. 회족 여성은 회족 이외의 남성과 결혼할 수 없지만, 회족 남자는 회족 이외의 여성이라도 이슬람교를 따르기만 한다면 결혼할 수 있다.
장례는 토장을 하며, 반드시 3일 내에 매장하고 관의 사용이나 부장품을 금지하고 있다. 단지 시체를 깨끗이 닦고 흰 천으로 싼 후에 매장한다.
그러나 광서좡족자치구의 회족은 한화가 많이 진행되어, 한족처럼 돼지고기를 먹는 회족도 꽤 많고 이슬람교의 율법을 극성으로 지키지는 않는다.
8. 부이족(布依, Bouyei)
부이족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등에 살며 중국에서는 2000년 조사에서 297만 1,460명으로, 56개 민족 중 11번째로 많다. 중국에서는 귀주성과 운남성, 광동성, 절강성의 아열대 고원 삼림지대에서 산다. 광서좡족자치구의 부이족 인구는 비교적 소수로, 2000년에 2만 826명을 기록하였다. 광서좡족자치구에서에서는 귀주성과 인접한 북부 및 서북부에 부이족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부이’는 자칭이며, 과거 한족에 의해 중가(仲家), 중만(仲蠻), 이가(夷家), 수가(水家) 등으로 불렸다.
지역부이족 인구지역부이족 인구 귀주성2,798,200운남성 54,695광동성 23,237절강성21,457광서좡족자치구 20,826표 5 중국 내 부이족의 분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단위: 명)
부이어는 한․장 어족에서 캄․타이 어군에 속하며 좡족과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민족이라는 주장이 지배적일 정도로 언어가 좡족과 비슷하다. 방언 구분은 없으며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3개의 사투리로 구분된다. 고유 문자는 없었으나 1956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라틴 알파벳을 기초로 문자를 만들었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부이족의 의복은 남자의 경우 한족과 거의 차이가 없게 되어 버렸지만, 여자의 복장은 아직 전통이 남아 있으며, 귀주성 중서부의 여자들을 제외하면 치마 대신 바지를 입는다. 지역에 따라 상의의 길이, 바지폭의 크기, 바지 단 및 상의 테두리의 장식 등이 차이가 난다.
부이족은 주로 평야에서 벼농사를 지으며 전통적으로 찹쌀을 재배한다. 이외에도 밀․기장․메밀․감자․콩을 많이 재배하며 목화․모시․담배․사탕수수․유․차, 그리고 그 기름을 짜 차에 첨가하는데 쓰는 동백나무도 많이 심는다. 평야지대에서는 쌀이 주식이고 일부 산악지대에서는 옥수수가 주식이다. 거의 모든 지역에서 밀, 보리 등을 경작하며 밀로 만든 면을 즐겨 먹는다. 찹쌀도 좋아하여 찹쌀로 떡 모양을 만들어서 먹는 것도 즐긴다. 시큼한 음식, 소금에 절인 야채, 개고기를 즐겨 먹으며, 쌀로 빚은 술도 좋아한다.
집은 이 지역 다른 소수민족과 유사한 간란 형식이 전통이다. 그러나 나무 대신 돌, 벽돌 등으로 지은 집도 많다.
부이족은 예술과 수공업에도 뛰어나다. 특히 그들이 만드는 납염 기술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부이족은 손님을 접대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겨 손님이 오면 반드시 담배와 차를 권하고 극진히 대접한다. 또한 손님에게 오리의 머리와 다리를 주어 호의를 표시한다. 주인은 손님 앞을 지나다니지도 않고 반드시 뒤로 돌아가서 존중을 표시한다.
일부일처제 사회이며 전통적으로 연애가 자유로운 편으로 배우자 선택도 자유로웠다. 그러나 명청 시대에 한족 문화의 영향으로 자녀의 혼인 문제는 부모가 결정하게 되었고 중매 제도가 자리잡 았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에는 다시 자유로운 분위기로 회귀하고 있다. 한편, 부이족 여자는 결혼한 후에 다시 자기 집에 와서 1년 반에서 5년 후에야 다시 신랑 집으로 돌아가는 관습이 있다고 한다.
장례는 토장이 공통적이며, 무당이 장례의식을 주도한다.
종교는 애니미즘과 조상숭배 중심이며 한족과의 접촉으로 불교, 도교의 영향도 받았고 청나라 말기부터 기독교도 들어왔으나 매우 소수이다.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이 저승으로 가서 귀신이 된다고 믿는데, 특히 조상의 영혼이 자신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여기며 숭배한다. 악한 귀신이 질병과 재앙을 일으킨다고 여겨 일이 생기면 무당을 청해 각종 제사의식을 치른다. 부이족의 집단적 제사의식이 3월 3일과 6월 6일에 있는데 이때 마을마다 돼지나 소를 잡아 산신, 부락신, 토지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이런 제사를 지낼 때는 외인이 마을에 들어가지 못한다. 지역에 따라 3월 3일에 제사 대신 성묘를 하는 곳도 있고, 6월 6일에 제사 대신 6월장을 열어 주위 사람들이 모이기도 한다. 개가 지붕에 올라가거나 혜성이 나타났을 때도 불길하게 여겨 무당을 청해 굿을 하는 등 미신이 많이 남아있으며, 닭을 삶아 뼈를 발라낸 뒤 뼈를 맞추어 보는 닭점이 보편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쌀과 달걀을 이용해 점을 보는 것도 많이 한다.
9. 징족(京, Jing)
징족은 베트남계의 민족이다. 16세기부터 베트남으로부터 이주하여왔다고 여겨지는 이 민족은 1944년 일본군에 맞서 용감히 유격전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자칭이자 공식적인 민족 이름은 한자로 京이라고 하는데 중국식 발음은 ‘징’이며, 베트남 사람은 이 한자를 ‘킨’이라고 발음하며 광동어로도 ‘킨’이라고 읽기 때문에 ‘킨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중국에 살고 있는 인구는 2000년 기준 2만 2517명으로 광시 좡족 자치구에 전체 인구의 89.4%인 2만 123명이 거주하고 있다. 특히